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그후…]전남 나주지역 배 착과불량 피해 농가들 글의 상세내용
제목 [그후…]전남 나주지역 배 착과불량 피해 농가들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9-22 조회 1176
첨부  
출처:농민신문

[그후…]전남 나주지역 배 착과불량 피해 농가들

“추석 대목인데 딸 배가 없어요”


개화기 이상저온…열매 드물어

꽃눈 적어 내년 농사가 더 걱정

피해 비해 복구비 지원 적어

“보험료 부담 덜어줬으면…”


포토뉴스

전남 나주 금천면 죽촌리 박동천씨 부부가 올해 이상저온 등의 영향으로 상품성이 떨어진 배를 보여주고 있다. 착과불량 피해로 수확 직전인데도
나무에서 배 봉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보세요.
지금이 추석 명절 가장 큰 대목인데 따낼 배가 없습니다. 선물용 배를 수확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다른 농가들을 보고 있노라면 한숨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15일 배 주산지인 전남 나주시 금천면 죽촌리 박동천씨(57)의 배밭.



 4월 배꽃 개화기에
이상저온으로 착과불량 피해를 입은 박씨 부부는 드문드문 배 봉지가 달려 오히려 휑해 보이는 배밭에서 연신 한숨만 내쉬었다. 배꽃 수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배가 예년에 비해 70% 정도 덜 달린 여파가 대목장 수확기에 현실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수확은 미룰
수 없어 막상 밭에 나와봤지만 내다팔 수 있는 정상과는 지난해 대비 20% 정도에 지나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딸 배가 없으니 수확용 노란
플라스틱 배상자도 여기저기 드문드문 놓여 있었다. 착과불량 피해를 면한 다른 농가들의 배밭에 상자가 일렬로 노란 줄을 이루며 쭉 늘어서 있는
것과 대조적이었다.



 박씨는 “올해는 열매솎기할 것도 없어 달린 배는 모두 봉지를 씌웠기 때문에 그나마 배가 조금 달려 있는 듯
보이지만 막상 봉지를 벗겨보면 상품성이 있는 것은 몇개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더욱 맥 빠지게 하는 것은 착과불량 피해의
경우 이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올해 과일이 이렇게 안 달리면 가지 등이 웃자라고 꽃눈 형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내년 농사까지 어렵게
한다는 점”이라고 하소연했다.



 박씨는 예년 같으면 1만1500㎡(3500평)의 면적에서 15㎏들이 3000상자 정도를 수확했을
텐데 올해는 800상자나 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



 박씨는 이처럼 착과불량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농작물재해보험
혜택마저도 기대할 수 없다.



 농작물재해보험을 ‘종합위험보장(종합보험)’이 아닌 ‘특정위험보장’으로 가입해 착과불량 피해는 보상이
안 되기 때문이다. 종합보험은 올해 처음 시범사업으로 실시해 나주지역의 경우 가입 농가가 5% 정도에 그치고 있다.



 정부의
재해복구비도 피해를 만회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농업재해대책법에 따르면 배 착과불량 피해율이 50% 이상인 농가의 경우 복구비는
1㏊(3000평)를 기준으로 농약대 47만원과 생계지원비 91만원 등을 포함해 150만원 정도가 전부다.



 인근 지역에서 착과불량
피해를 입은 김영준씨(66·월산리)도 “올해는 수확할 배가 예년의 40% 수준에 불과하지만 현실적으로 피해를 만회할 길이 없다”면서 “배가
이렇게 안 달려도 병해충 방제 등 관리는 똑같이 해줘야 해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도 일년 농사가 헛수고가 돼 의욕이 없다”고 말했다.



 김씨는 “내년을 기약하자고 혼자 위로를 해도 목돈을 만져야 할 추석 대목에 당장 소득이 없어 그게 생각처럼 쉽지 않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김선중 금천농협 조합장은 “올해 착과불량 피해를 입은 농가가 많아 농작물재해보험을 종합보험으로 가입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농가가 크게 늘었다”면서 “정부와 지자체, 농협에서 보험료 지원을 많이 해주기는 하지만, 농가 입장에서는 보험료가 아직도 큰
부담이 되는 만큼 정책보험을 감안해 보험단가를 좀 더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