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육계업계, 자율 냉동비축 실시 글의 상세내용
제목 육계업계, 자율 냉동비축 실시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10-01 조회 828
첨부  

출처:농민신문


 


육계업계, 자율 냉동비축 실시


닭고기업체 16곳서 90만마리…수급안정 위해 팔걷어


 닭고기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육계업계가 자율적 냉동 비축에 들어갔다.



 한국육계협회에 따르면 하림·마니커 등 국내 대형 닭고기
업체 16곳은 21일부터 26일까지 6일간 총 90만마리의 생계를 냉동 비축했다.



 각 업체의 비축량은 전체 물량에서 최저
0.6%에서 최대 22%까지로 업체 규모에 따라 다르다. 비축기간과 방출시기는 시장상황을 반영해 탄력적으로 조절할 계획이다.



 또
이번 냉동 비축으로 발생하는 창고 대여비·유지비 등 총비용은 1억2000만원 정도로, 각 업체에서 전액 부담하기로 했다.



 아울러
비협조적인 업체는 정부 정책지원 대상에서 제외시킬 방침이다.



 업체의 이 같은 조치는 공급과잉과 소비부진이 맞물리면서 닭고기 산업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육계관측 9월호’에서 올 1월부터 8월까지 총 도계마릿수는
6억5900만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6억500만마리)보다 8.9%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9월 한달간 도계마릿수 역시 작년 같은
달(7000만마리)보다 약 8.2% 증가한 7579만마리로 추정됐다.



 반면 닭고기 성수기인 지난 여름엔 궂은 날씨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 악재가 겹쳐 수요가 줄어든데다 연말까지 닭고기 소비를 증가시킬 요인이 없어 육계 산지값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올 1월 1600원대에서 시작한 육계 산지값(1㎏ 기준)은 2월부터 4월까지 1700원대에 머무르다가 5월
1400원, 6월 1300원대로 하락했다. 7월엔 1400원선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8월 들어 다시 1200원 수준으로 떨어졌고, 9월 현재
1100원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2014년 육계 생산비(1㎏당 1339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이와 관련,
정병학 한국육계협회장은 “닭고기 산업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각 업체들이 생산량을 줄이고 있지만 이전에 입식한 물량이 일시적으로 발생,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됐다”며 “앞으로 닭고기 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해 강력한 수급조절을 실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