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당근 수입 폭증…재배면적 반토막 글의 상세내용
제목 당근 수입 폭증…재배면적 반토막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10-02 조회 1354
첨부  

출처:농민신문


 


당근 수입 폭증…재배면적 반토막


해마다 9만여t씩 들어와

베트남산까지 무관세 공습

FTA 협상때 위험성 간과

싼값·편의성 무장…더 늘듯


포토뉴스

 수입
당근의 파상공세에 국내 당근 재배면적이 반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 당근이 국내 시장을 장악한 가운데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당시 영향력을 간과했던 베트남산의 예상치 못한 공습까지 겹친 결과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당근 수급 현황 및
시사점(FTA 이슈 리포트 제13호)’을 보면 2000년 1만1430t이던 당근 수입량은 이후 해마다 급격히 늘어 2011년 9만6339t을
기록한 뒤 지난해까지 줄곧 9만t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수입 급증세는 국내 당근 생산기반을 크게 흔들어놨다. 2000년 4383㏊였던
국내 당근 재배면적은 2014년엔 2397㏊로 무려 45.3%나 줄었고, 같은 기간 당근 자급률은 64.3%에서 45.6%로 ‘뚝’
떨어졌다.



 외국산 당근의 가장 큰 무기는 싼 가격과 편의성이다. 지난해 수입 당근의 도매시장 반입 가격은 1㎏당 761원으로
국산(1060원)보다 30%가량 낮았다. 지성태 농경연 FTA이행지원센터 조사분석팀장은 “수입 당근은 가격면에서 우위에 있는데다 전량 세척
상태로 들어와 편의성을 중시하는 식당이나 외식업체, 가공업체의 선호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한·중 FTA에서
당근이 양허제외되긴 했지만, 이미 중국산이 국내 시장을 절반 넘게 잠식한 상태인데다 베트남산 당근이 의외의 복병으로 가세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한·아세안 FTA 협상 당시 수입이 전혀 없었던 베트남산 당근의 민감도가 낮다고 판단, 일반 품목에 포함시켰다. 그 결과 베트남산 신선당근은
2010년부터 전량 무관세로 수입되고 있다. 베트남산 당근 수입량은 2010년 122t, 2011년 229t으로 서서히 늘다 지난해엔
4711t까지 폭증했다.



 농경연은 앞으로 수입 당근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특히 높은
가격경쟁력을 가진 베트남산이 중국산을 대체하며 점유율을 한단계 끌어올릴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해 베트남산 당근의 연 평균 수입단가는 1㎏당
0.48달러로 중국산보다 4.5% 낮았다.



 지 팀장은 “아직까지는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고려가 수입 당근의 시장 확대를
지연시키는 안전핀 역할을 하고 있지만, 앞으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어떻게 바뀔지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