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한우농가, 스마트팜사업 참여 의견분분 글의 상세내용
제목 한우농가, 스마트팜사업 참여 의견분분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10-16 조회 1111
첨부  
출처:농민신문

한우농가, 스마트팜사업 참여 의견분분
정부, 양돈·양계농장만 지원…“한우농장도 포함” 목소리
일부 농가 “비용 20% 자부담 대비 성과 미미할것” 반대


 정부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팜 사업의 참여 여부를 놓고 한우농가들이 이견을 보이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축산업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가 2014년부터 양돈과 양계농장에 한해 진행하는 스마트팜 사업의 지원대상에 한우농장도 포함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업 효과에 대한 확신이 없는 상태에서 사업 지원대상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일부 한우농가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스마트팜 사업은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축사환경·사양관리·경영관리 등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해 지능형 축사관리시스템을 농가에 보급하는 사업이다. 기존 축사시설을 자동화하거나 새로운 첨단시설로 변경해 농가의 노동력은 감소시키는 한편, 생산성과 소득을 제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양돈농가 23곳이 이 사업에 참여, 농장에 ICT를 적용해 돼지를 사육중이며, 앞으로 양돈 17농가와 양계 15농가가 추가로 참여하기 위해 컨설팅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젖소 농장은 2016년부터 사업 지원대상에 포함될 예정이다.

 그러나 한우농가의 경우 지원대상이 아니어서 지능형 축사관리시스템 도입을 원한다고 해도 현재로선 사업에 참여할 마땅한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이른 시일 내에 지원대상자에 한우농장도 포함시켜 달라는 목소리가 한우농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실제 9월17~18일 전북 부안 NH농협생명 변산수련원에서 개최된 ‘축사시설 현대화사업 지자체 워크숍’에서 황엽 전국한우협회 전무는 “ICT 융복합 축사에 한우농가들도 참여할 수 있게 해달라”고 농식품부에 건의한 바 있다.

 그렇지만 일부 한우농가들은 해당 사업에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사업 참여에 반대하고 나섰다.

 스마트팜 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금은 최고 5억원으로, 이 가운데 20%는 농가 자부담이다. 1억원의 지원금을 받을 경우 농가는 2000만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 이 같은 금액에 비해 이점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한우업계의 한 관계자는 “비싼 비용을 들여서 효과가 없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가의 경영부담으로 이어진다”며 “차라리 한우농가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에 지원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상현 농식품부 축산경영과 사무관은 “사육기간이 짧아 스마트팜 사업 접목이 용이한 닭과 돼지부터 사업 지원대상자에 포함한 것”이라며 “지난해 지능형 축사관리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들을 대상으로 사업 경제성을 분석 중인데, 올 연말 결과가 발표되면 사업효과에 대한 한우농가들의 불안이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