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현장]마늘 주산지 경남 창녕 파종 막바지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5-10-22 | 조회 | 1414 |
첨부 | |||||
출처:농민신문
[현장]마늘 주산지 경남 창녕 파종 막바지 “값좋지만…재배몰려 값하락 악순환 걱정” 인건비 등 해마다 치솟아 채산성 나빠 다른지역서도 재배가세…내년 값 우려 “주요 작목이라도 적정생산 대책없나” 경남 창녕군 대지면의 김태성씨(57·효정리)는 인부 11명과 함께 가을걷이를 끝낸 논에 마늘을 심고 있었다. 인근 논에서도 5~10명의 일꾼들이 구멍이 뚫린 비닐 속으로 마늘쪽을 심느라 바쁘게 손을 놀리고 있었다. 황금벌판 저 너머에는 마늘 파종을 위해 부지런히 논을 고르는 모습이 보였다. 양파를 심던 논 661㎡(200평)를 마늘로 돌려 올해 6611㎡(2000평)의 마늘농사를 준비한 김씨는 “올해 마늘값이 오른 것에 비해 실제 소득이 따라주지 않았다”면서 “마늘은 파종·수확작업에 일손이 많이 드는 작목으로 해마다 자재비와 인건비 등이 크게 오르고 있어 농사짓기가 갈수록 힘이 든다”고 토로했다. 그는 “지난해만 해도 인부 일당이 8만5000원 정도였는데, 올해는 9만5000원으로 또 올랐다”면서 “올해는 마늘재배 면적을 약간 늘렸지만 채산성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어 큰 기대는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가격상승 기대심리로 재배면적 늘 듯=올해 마늘 시세가 모처럼 기지개를 켜자 농사를 짓지 않던 농가들이 논을 구해 마늘을 심거나 양파를 재배하던 곳을 마늘로 전환한 농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대지면 모산리에서 만난 한 마늘농가는 “몇년 동안 가격이 엉망이어서 마늘 재배농가들이 엄청 힘들었고, 그나마 올해 물량부족으로 가격이 올라 숨통이 조금 틔었는데 이 때문에 너나 없이 마늘농사에 뛰어들어 걱정”이라면서 “불안한 마음이 들기는 하지만 그동안 밑진 것 벌충하려는 생각으로 나 역시 마늘을 지난해보다 늘려 심었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마늘가격 상승으로 내년 재배의향면적이 7%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품종별로는 한지형이 2%, 난지형이 대서종을 중심으로 8%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충청과 영남은 대서종 재배의향이 높아 각각 4%, 11%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더 큰 문제는 주산지가 아닌 그동안 마늘을 아예 재배하지 않던 지역에서 몇년 전부터 마늘 재배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마늘유통인 송백봉씨는 “기존 마늘 주산지에서는 재배면적을 늘린다 해도 한계가 있다”며 “최근 마늘을 재배하지 않던 경기 여주·안성은 물론 경남 밀양, 경북 청도, 전북 부안·완주 등에서 재배가 눈에 띄게 늘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손희식 창녕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 과장은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대서마늘 재배가 점점 늘고 있고, 이는 이모작으로 겨울에 심을 만한 작목이 많지 않기 때문”이라며 “이렇게 재배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내년에 큰 변수가 없는 한 마늘 전체 생산량은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생산실명제 등 도입…안정생산 기반 갖춰야=마늘가격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재배면적을 적정하게 유지해야 하는데, 재배증가로 인해 산지에서는 걱정의 목소리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는 과잉생산을 촉발하고, 이는 또 가격폭락을 유발하는 악순환 구조를 우려해서다. 1만3884㎡(4200평) 규모의 마늘농사를 짓는 손상천씨(49·고암면 억만리)는 “농가들은 마늘값이 크게 오르는 것을 반기지 않는다”면서 “가격이 오르면 내년에 재배가 몰려 다시 가격이 하락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에 정부가 최저가격을 보장해주고 적정 재배면적을 유지해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이명흔 부곡농협 조합장은 “값 등락이 심한 마늘 등 주요 채소 몇개 품목을 정해 ‘농가 생산실명제’를 도입, 적정면적을 유지해 갈 필요가 있다”면서 “그래야 농가들도 안정적으로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고, 정부 역시 정확한 통계를 바탕으로 수급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조합장은 “농가가 5년 정도 재배할 작목을 정해 정부와 약정하고, 만약 농가가 약정을 어기고 다른 작목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유기질 비료 등 농자재 보조금 을 회수하거나 쌀 직불제 보조금을 일정기간 지급 중단하는 등의 제재를 강구해야 한다”며 “그래야 작목 쏠림으로 인한 기존 재배 농가의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물량수급의 원활한 조절로 가격 진폭이 줄어 농가들도 가격불안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