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가뭄지역 지하수마저 말라간다 글의 상세내용
제목 가뭄지역 지하수마저 말라간다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10-27 조회 1010
첨부  
출처:농민신문

가뭄지역 지하수마저 말라간다
충남 8개 시·군 최악가뭄 고통…농업·생활용수의 마지막 희망
관정 뚫어 물 4억9천만t 이용…벌써 개발가능량의 절반 넘어
“관정 물 달려…농사 어쩌나”
 
지하수 체계적 이용계획 필요
도, 총량관리제 추진 등 안간힘

 19일 충남 보령댐 저수율이 20.9%로 떨어졌다. 이곳에서 물을 공급받는 충남 서북부 8개 시·군은 제한급수에 이어 생활·공업용수 20% 절감 운동을 펼치고 있다.

 40년 만의 대가뭄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고통에 비하면 농업용수는 형편이 조금 낫다. 이는 많은 물을 필요로 하는 벼농사가 수확철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저수지와 하천이 허연 배를 드러낸 지 오래지만 밭과 시설원예작물 농사가 가능한 것은 지하수가 있기 때문이다.

 극심한 가뭄에도 가을 무·배추와 쪽파의 생육이 나쁘지 않고 마늘이나 토마토 모종을 심는 데도 큰 문제가 없었던 것은 모두 지하수 덕이다.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지하수 함양량은 연간 13억6227만t으로 추정된다. 이는 대청댐 총 저수량 14억9000만t에 버금가는 양으로 이 가운데 개발가능량은 9억8418만t 정도. 현재 지하수 관정 25만2886개에서 연간 4억9603만t을 이용,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률이 50.4% 수준에 이른다.

 하지만 가뭄지역의 유일한 젖줄인 지하수마저 곳곳에서 위기신호를 보내고 있다.



 ◆지하수 끊기면 농사도 끝=20일 쪽파 주산지인 예산군의 한 비닐하우스에서 만난 조흥환씨(68·예산읍)는 “요즘 지하수 고갈을 실감한다”고 말했다. 최근 판 4개 관정 모두 물이 나오지 않아 다시 메워버렸다. 기존 관정도 5분 정도 끌어올리면 물이 달려 10t짜리 저수조에 모아놓은 뒤 사용한다고 했다.

 한정호씨(58·오가면)도 한 걱정을 늘어놨다. 겨울에 쪽파를 심는 27동의 비닐하우스에 수막을 해야 하는데 지하수의 양이 적어서다. 4년 전 100m 깊이로 판 대형관정은 물에 철분이 많아 아예 폐공시켰다.

 한씨는 “지하수를 찾아 더 깊이 팔 수밖에 없다”며 “이웃들과 ‘이러다가 물이 없어 농사를 못 짓는 것 아니냐’고 우스갯소리를 한다”고 전했다.

 대규모 마늘재배가 많은 서산지역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12일에 난지형 마늘을 심었다는 인진곤씨(71·인지면)는 “지하수가 잘 나오지 않아 4620㎡(1400평)에 설치한 스프링클러(50개) 노즐을 5개에서 3개로 줄였다”고 했다. 그것도 모자라 밭 전체를 한번에 주던 것에서 반씩 나눠 하루 두번에 걸쳐 뿌리는 상황이다.

 옆 마을의 김창제씨(76)는 “10월 말경 한지형 마늘을 파종할 밭에 물을 흠뻑 줘야 하는데 어떨지 모르겠다”며 “물을 제대로 뽑아내려면 이제는 100m 이상 파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하수 체계적 관리방안 마련돼야=이에 따라 지하수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충남도가 최근 ‘지속가능한 충남형 물 복지 구현을 위한 지하수 총량관리제’ 도입에 따른 세부 추진계획을 확정한 것은 좋은 사례다. 지하수 총량관리제는 한정된 수자원인 지하수를 개발가능량(총량) 내에서 이용 범위(가이드라인)를 설정·관리함으로써 과도한 사용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정책이다.

 우선 1단계에서는 지하수 함양량과 개발가능량, 이용량, 수질, 공공지하수 현황 등을 실시간 분석·관리할 수 있는 지하수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공공 및 대용량 지하수 시설 현황을 조사한다. 이 시스템은 국가지하수정보센터(국토부), 각종 지하수 관측망 자료(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시·군 지하수행정시스템 등과 연계시키는 방식이다.

 또 폐공 원상복구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기존 마을상수도 시설개량 및 공공 지하수 활용도 향상, 상수도 미보급 지역에 대한 신규 공공지하수 개발 확대 등을 추진하게 된다.

 2단계에서는 지하수 총량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준 마련(조례 제정), 시·군 지하수 특별회계 설치 및 지하수 이용 부담금 도입을 지원한다. 3단계는 지하수 수위 저하, 고갈, 수질오염, 지반 침하 등 장애현상 사전예방과 관리강화, 공공 지하수 시설물의 주기적 사후관리, 시설개량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지하수 총량관리제 도입은 도내 지하수가 현재처럼 이용될 경우 고갈이나 오염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 따른 것”이라며 “제도 도입으로 5개 부처 8개 관련법에 따른 관리를 하나로 묶어 지하수를 더 깨끗하고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관리·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