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초점]끊이지 않는 농촌 농기계 교통사고 글의 상세내용
제목 [초점]끊이지 않는 농촌 농기계 교통사고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11-06 조회 785
첨부  
출처:농민신문


[초점]끊이지 않는 농촌 농기계 교통사고
고령 농민 대처능력 떨어져 ‘아찔’
사고 증가세…좀처럼 안줄어
2013년 치사율 21.3%…같은해 자동차는 2.4%
주의 부족·정비불량 주요인
“농기계 전용도로 확충…병역인력 활용 검토를”

 수확기 농기계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농기계사고가 자동차사고에 비해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보여주는 자료가 공개됐다. 국토교통부와 농촌진흥청은 2일 ‘최근 5년간 농기계 교통사고’ 자료를 통해 농기계 교통사고 치사율이 일반차량에 비해 6.9배(2010~2014년 평균)나 높았다고 밝혔다. 농업인의 생명보호를 위해 농기계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줄지 않는 농기계사고=농기계로 인한 교통사고 건수는 2011년 379건에서 2014년 428건으로 증가세에 있다. 농기계 교통사고 증가로 사망자수 또한 지속적으로 늘어 같은 기간 45명에서 75명으로 증가했다. 부상자수도 꾸준히 400여명 이상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농기계 교통사고 치사율은 일반차량에 비해 6.9배나 높아 경각심을 더하고 있다. 2013년의 경우를 보면 463건의 농기계사고가 발생해 99명이 사망했다. 치사율이 21.3%까지 치솟아 최근 5년 중 가장 높았다. 반면 같은 해 자동차 사고는 21만5354건 발생 중 사망자는 5092명으로, 2.4%의 치사율을 보였다.

 2010년 이후 최근 5년 동안 지역별 농기계 교통사고 현황을 보면 전남이 44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북(418건), 경남(240건), 충남(198건) 등의 순이었다.

 ◆증가 원인=농기계 전용도로 부족과 고령농업인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운전 미숙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고된 노동 이후 피로를 풀기 위해 술을 마신 뒤 무의식적으로 운전하다 발생하는 사고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실제 농진청이 조사한 농기계사고 안전실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기계사고의 절반 이상은 봄철 이앙기와 가을철 수확기에 발생했으며, 안전수칙 불이행과 정비불량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이었다.

 농진청 관계자는 “음주 상태에서 농기계를 조작하면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상황대처 능력이 떨어져 사고 위험이 훨씬 높아진다”며 “음주운전은 삼가고 농기계 운전자가 스스로 기계 점검이나 방어운전을 습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책=국토교통부와 농진청은 2일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2015년도 하반기 교통안전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전남·북을 대상으로 상반기 50개 마을을 진행한 데 이어 경남·북과 충남 등 50개 마을을 대상으로 3일부터 12월11일까지 진행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 기간 동안 정부는 안전반사판과 야광지팡이 등을 보급하고 마을 주민에게 현장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농업인들은 농기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고령농업인들의 농기계 운전 횟수를 줄이기 위한 대안 마련과 함께, 안전장치가 없어 위험한 구형 경운기를 대체하는 농기계 개발·보급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아울러 농기계 전용도로 확충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승남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전남 고흥·보성)은 “농촌고령화로 농기계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치사율이 높아 농기계 은행사업 기관 등에 농기계 운전을 대체할 수 있는 ‘병역 대체 운전인력제’가 도입돼야 한다”며 “정부가 사회복무요원이나 산업기능요원의 복무분야에 농기계운전자를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지역농협 관계자는 “고령에 힘에 부치다 보니 운전 조작이 상대적으로 힘든 경운기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며 “안전반사판 부착 사업 등도 좋지만 운전 조작이 쉬운 농기계 보급을 위한 대책 마련에도 신경을 써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