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외면받는 달걀등급제…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5-11-10 | 조회 | 773 |
첨부 | |||||
출처:농민신문
외면받는 달걀등급제… 판정기준 최소 5만개 이상…소규모·영세농 참여 저조 일부 고품질 달걀만 출하…99.6%가 1등급 이상 획득 “등급별 가격 차별화 안돼 수수료만 허비” 개선해야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품질 좋은 달걀을 공급하기 위해 도입한 달걀등급제가 유명무실하게 운영돼 시급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채란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2001년부터 달걀등급제를 도입, 농가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토록 하고 있지만 여기에 참여하는 농가는 극히 드물어 제도 도입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 대한양계협회가 최근 발표한 자료를 보면 달걀 등급제의 현실을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다. 이 자료에는 지난해 전체 달걀 유통물량(약 146억개) 가운데 6.3%(9억2000만개)만이 등급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와있다. 농가들의 등급제 참여가 저조한 이유는 등급별 변별력이 없어 가격 차별화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5년간 등급판정을 받은 달걀의 99.6%가 1등급 이상의 등급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달걀등급제는 1+·1·2·3등급으로 나눠진다. 이처럼 대부분의 달걀이 높은 등급에 몰리다보니 농가들은 등급에 따른 혜택은 얻지 못하고 등급판정 수수료만 지출하는 것에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등급판정을 받게 되면 농가는 달걀 1개당 1원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농가들이 특별히 선별한 고품질의 달걀에 한해서만 등급이 매겨지는 것도 문제다. 등급제에 참여하는 대다수의 농가들은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해 20~40주령의 산란계가 생산한 달걀만 출하해 등급판정을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안영기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은 “많은 농가들이 40주령 이상의 산란계에서 달걀을 생산하고 있는데, 현 등급제는 이런 현실과 동떨어지게 운영되고 있다”며 “80주령의 산란계에서 생산한 달걀도 섭취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등급이 낮게 나올 가능성이 커 농가 입장에서 등급판정을 받지 않고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등급판정을 받기 위한 최소 수량이 5만개 이상이어야 한다는 관련 규정도 농가들이 제도를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로 지적된다. 소규모 영세 농가는 등급판정을 받고 싶어도 물량을 대기 힘들고, 5만개 이상을 생산한다 해도 이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판매처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등급별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전체 계군에 대한 등급판정을 실시하고, 수량에 상관없이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농가 및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김동진 대한양계협회 국장은 “달걀등급제가 생산자와 소비자·유통업자 모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도입됐지만 14년이 지난 현재까지 쉽게 정착되지 않고 있어 개선·보완이 필요하다”며 “향후 공청회 등을 통해 농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협회 차원에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