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올 쌀 생산량 432만7000t…예상보다 6만9000t 늘어 글의 상세내용
제목 올 쌀 생산량 432만7000t…예상보다 6만9000t 늘어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11-16 조회 756
첨부  
출처:농민신문


올 쌀 생산량 432만7000t…예상보다 6만9000t 늘어
작년비해 8만6000t 증가
10a당 542㎏…역대 최대
“추가 격리” 목소리 커져
 2015년산 쌀 생산량이 대풍 수준인 432만7000t(현백률 92.9% 기준)으로 확정됐다. 단위면적(10a·300평)당 생산량은 542㎏로 2009년의 534㎏보다 8㎏ 많아 사상 최대치로 기록됐다.

 통계청은 13일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 생산량(424만1000t)보다 2%(8만6000t), 평년 생산량(396만5000t)보다 9.1%(36만2000t)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예상 생산량(425만8000t)에 견줘 6만9000t 많고, 2015년산 신곡 수요량(397만t)을 35만7000t 초과하는 물량이다.

 통계청은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역대 최고인 542㎏로 늘어난 것이 쌀 생산량 증가의 주요인이라고 지목했다.

 올해 벼 재배면적(79만9344㏊)은 지난해보다 2%(1만7162㏊) 줄었으나, 양호한 생육여건으로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지난해(520㎏)보다 4.2%나 늘며 전체 생산량 증가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평년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496㎏에 불과하다.

 도별로는 전남이 86만6202t으로 지난해 1위인 충남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이어 충남 82만7886t, 전북 70만591t, 경북 58만9466t, 경기 42만680t, 경남 38만9866t 등의 순이다.

 올해 쌀 생산량이 신곡 수요량을 크게 초과함에 따라, 정부의 추가적인 쌀 시장격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전망이다. 농민단체들은 쌀 생산량이 확정되면 신곡 수요량 초과 물량을 전량 시장격리해야 한다고 정부를 압박해 왔다. 정부는 지난달 예상 생산량 발표 이후 시장 안정을 위해 쌀 20만t을 우선 격리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가 농민단체 요구를 수용한다면 쌀 15만7000t을 추가 격리해야 하지만, 예산당국의 반대가 심해 추가 시장격리에 나설지 불투명하다.

 통계청의 부정확한 조사로 쌀 예상 생산량과 실제 생산량의 불일치가 되풀이됐다는 비판도 거세다. 9·15 예상 생산량과 실제 생산량은 지난해에도 5만7000t이나 차이가 났고, 2008년과 2009년에는 각각 24만6000t, 23만4000t의 간격이 벌어져 조사기관인 통계청의 역량을 의심케 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