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촌노인 식생활 개선사업 확대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촌노인 식생활 개선사업 확대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11-25 조회 881
첨부  
출처:농민신문


농촌노인 식생활 개선사업 확대
농식품부, 내년 100개 마을 1년간 실시
기업후원에 재정 의존…예산 확보 ‘과제’
 정부가 농촌노인 식생활·건강 개선사업 확대를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경기 양평군 내 양서1리(골용진마을) 등 10개 마을(총 330명)을 대상으로 이 사업을 시범 실시한 결과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농촌 노인들의 인식이 개선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판단, 내년에 이 사업을 최대 10개 시·군(100개 마을)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업 기간도 기존 3개월에서 1년(여름철 제외)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가 대행하는 이 사업은 마을별로 식생활관리사를 지정하면, 관리사는 마을을 방문해 올바른 식단 구성법과 식습관병 예방을 위한 교육을 한다.

 또한 주2회 마을회관 등에서 노인들에게 음식과 밑반찬을 만들어준다. 이 음식은 전문가가 작성한 식단을 토대로 하는데, 단백질 등 노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 위주다. 음식에 들어가는 식재료는 양계협회·낙농진흥회·풀무원 등의 후원을 받아 조달한다. 농협은 식재료의 콜드체인을 유지하기 위해 후원받은 식재료를 보관하다 각 마을로 배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21일 골용진마을을 찾은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농촌에 고령자나 독거노인이 갈수록 늘면서 이분들이 식사는 제대로 하는지, 영양결핍을 겪고 있지는 않는지 항상 걱정이 많다”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 실제 급식을 결합한 사업을 실시하게 됐다”고 밝혔다.

 농식품부가 내년에 이 사업의 대폭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바로 이 사업이 정부나 지자체의 재정이 아닌 기업의 후원으로 이뤄진다는 점이다. 후원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사업 확대는 어려워진다. 농식품부는 다양한 모델을 고민 중이다. 생산자단체가 홍보활동의 하나로 자조금을 활용하거나, 기업체의 자발적 기부, 지역농협의 환원사업 등을 고려하고 있다.

 이 장관은 “이 사업을 국민의 세금으로만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며 “어떻게 이 사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 사업 외에 농촌 고령자에 적합한 표준 식단·조리법을 개발해 보급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