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식품트렌드 변화대비 안전관리체계 마련을” 글의 상세내용
제목 “식품트렌드 변화대비 안전관리체계 마련을”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12-03 조회 838
첨부  
출처:농민신문


“식품트렌드 변화대비 안전관리체계 마련을”
‘식품 정책세미나’서 제기…“위험성 최소화 기술개발 시급”
 식품안전 환경변화에 대비해 식품안전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성희 식품안전정보원 본부장은 11월26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식품안전정책 세미나’에서 ‘미래지향적 식품안전관리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국가 간 식품 수출입의 증가, 기후변화, 새로운 식품원료의 등장 등 식품안전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요인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러한 복합적인 위해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식품안전 관리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 본부장의 발표에 따르면 식품 수입의 증가와 지구온난화로 인해 국내 식중독 발생건수는 2005년 109건에서 2014년 349건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식량부족을 해결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미래 먹거리로 곤충·배양육(세포공학기술로 생산하는 고기) 등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 본부장은 식품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식품안전 관리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운 식품을 섭취하면 알레르기 질환 등 알려지지 않은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식품안전 연구개발(R&D) 사업을 육성해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감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식품의 원료·제조·유통·소비 등 전 과정을 평가하는 국가식품안전지수(NFSI) 모델을 운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미나에서는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손세근 (재)식품안전상생협회 사무총장은 “우리 국민들은 식중독·비만 같은 현실적인 위험요소보다 알려지지 않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며 “식품업계 스스로 정보 공유를 확대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