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FTA 우려 결국 현실로 글의 상세내용
제목 FTA 우려 결국 현실로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6-01-13 조회 689
첨부  

출처:농민신문


 


 


FTA 우려 결국 현실로


 


체결국가 농식품 수입액 5년새 56%나 급증

 


수출 정체…작년엔 되레 줄어

 



포토뉴스

 농식품
수입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한 농식품 수입 증가가 뚜렷하다. 반면 수출은 정체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정체 수준을 넘어 전년 대비 역성장했을 정도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발간한 ‘2015 수입식품 등 검사연보’에
따르면 2014년 가공식품 및 농축산물 수입 신고 건수는 55만4177건(159개국)으로 2010년의 44만1530건에 견줘 25.5%
증가했다. 수입 신고 건수를 FTA 체결 국가로 한정하면 같은 기간 22만1322건에서 32만6003건으로 47.2%나
늘었다.



 금액 기준도 마찬가지다. 2014년 수입액은 231억1167만달러로 2010년의 158억8142만달러에 비해 45.5%
늘었다. 하지만 FTA 체결 국가만을 대상으로 하면 증가율은 56.6%로 부쩍 높아진다. 2010년 95억6247만달러에서 2014년
149억8430만달러로 늘어난 것이다.



 이런 결과는 농업계가 우려했던 대로다. 관세를 철폐하는 FTA가 농식품 수입을 늘리고 결국
이는 국내 농업의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다. 실제로 유럽연합(EU)으로부터의 수입 신고건수는 2010년 6만6146건이었다. 하지만
2011년 FTA 발효 1년차를 맞아 건수는 8만809건으로 22.1% 증가했다. 이후 매년 관세가 낮아지면서 2014년 수입 신고건수는
10만6818건에 달했다. 이는 사상 최초로 10만건을 넘긴 기록이다.



 올해 발효 5년차를 맞은 한·미 FTA도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2010년 6만1907건이던 수입 신고건수가 2014년 8만7532건으로 4년 사이 41.3%나 급증한 것이다. 반면 호주·캐나다산
농식품 수입 신고건수는 2010~2014년 큰 변화가 없었다. 호주의 경우 같은 기간 2만1859건에서 2만4621건으로 2700여건 늘었을
뿐이다. 이 시기는 아직 한·호주 및 한·캐나다 FTA가 발효되기 전이다.



 이에 비해 농식품 수출은 게걸음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5년 77억달러 목표를 내걸었으나 61억890만달러(잠정치)에 그쳤다. 목표 대비 79%밖에 달성하지 못한 것은 물론, 2014년에 견줘
1.2% 줄어들었다.



 서륜 기자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