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구제역 접종 두번 맞지만 비용·이상육 걱정이…” 글의 상세내용
제목 “구제역 접종 두번 맞지만 비용·이상육 걱정이…”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6-01-18 조회 788
첨부  

출처:농민신문


 


 



“구제역 접종 두번 맞지만 비용·이상육 걱정이…”


축산농 필요성 알지만 백신비 부담

이상육 손실커 상당수 농가 한번만

“2회 효과확실”…시군 농가참여 독려


포토뉴스

강원 횡성군 소속 백신접종반이 한 돼지농가에서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한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하면 그 지역의 모든 농가들이 피해를 입습니다. 구제역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한 것이라면 백신 두번 접종에 따른
이상육(백신접종 부위에 하얗게 고름이 생기는 현상) 발생을 걱정하는 것은 2차적인 문제지요.”



 강원 횡성군에서 돼지 1800마리를
사육 중인 박기순씨(63·우천면)는 백신 2회 접종의 필요성을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최근 백신을 두번 맞힌 돼지들을 출하했는데, 항체형성률이
1회 접종했을 때의 70~80%보다 높은 90%가 나왔다”면서 “구제역이 전북 김제에 이어 고창까지 확산된 시점에서 2회 접종은 필수”라고
말했다.



 사실 박씨도 여느 농가들과 마찬가지로 생후 60일령의 돼지에 백신 접종을 1회만 실시했었다. 그러나 지난해 9월부터 군이
시행한 ‘돼지 구제역 예방접종 시술비 지원사업’에 참여하면서 생후 90일령 돼지에도 백신을 맞히기 시작했다.



 이 사업은 방역당국이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 백신 2회 접종을 권장한 것에 대해 이상육 발생과 백신 비용 증가를 우려하는 농가들의 반발이 잇따르자 강원도가 고심 끝에
추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에서 가장 먼저 사업에 참여한 횡성군은 두번째 접종을 위한 백신을 자체 예산으로 구입, 농가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배금학 횡성군 축산지원과 가축방역계장은 “처음엔 2회 접종에 반대하는 농가들이 대다수였지만 공수의사와 군 직원들이
설득작업을 펼친 결과 전체 양돈농가 16곳 중 2곳을 제외하곤 모두 2회 접종을 실시 중”이라며 “이상육의 경우 군 소속 백신 접종반이
농가들에게 올바른 접종 방법과 주의사항 등을 지도하면서 피해를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횡성군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당수의
농가들은 백신 2회 접종의 효과를 인정하면서도 그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해 1회 접종만 실시하고 있다.



 특히 이상육 발생은 농가들의
금전적인 손실과 직결돼 2회 접종을 꺼리는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대한한돈협회는 지난해 7월 ‘구제역 4가백신 항체형성률 및 이상육 형성
실험’ 결과를 통해 2회 접종에 따른 이상육 발생률은 90%로, 연간 약 2600억원의 금전적인 손실이 발생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백신 구입비도 농가들이 두번의 백신접종을 실시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한다. 돼지 한마리 분량의 O형 단가백신은
1400원으로, 정부는 1000마리 미만을 사육하는 영세농에겐 비용의 100%, 1000마리 이상 규모의 전업농에겐 50%를 지원하고 있다.



 경기 이천의 한 양돈농가는 “통계청 조사를 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양돈농가당 평균 사육마릿수가 2000마리 정도인데,
50% 비용을 지원받는다고 해도 농가들은 백신 구입비로 평균 140만원이 드는 셈”이라며 “여기에 2회 접종을 하게 되면 금액은 두배로 늘어나
농가 입장에선 부담”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정부가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 2회 접종을 권장만 하지 말고 실질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정책을 펴되, 농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역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승면 한국양돈수의사회
부회장(하늘가축병원 원장)은 “백신을 두번 맞힌 농가 가운데 이상육이 10~20% 미만으로 나오는 농가를 모범사례로 정해 다른 농가에게 적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농가들을 설득해 2회 접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횡성=최문희 기자
mooni@nongmin.com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