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청과 국무조정실, 농림축산식품부 등 17개 부처는 합동으로 지난해 한반도에 발생한 이상기후 현상과 그 영향 등을 담은 ‘2015년 이상기후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2월22~23일에는 전국적으로 짙은 ‘겨울황사’가 발생했다. 통상 황사는 봄철에 많이 발생한다. 5월에는 이상고온 현상으로 월평균 기온이 18.6℃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45개 지점에서 기상관측을 시작한 1973년 이래 최고치다.
장마기간(6월24일~7월29일)에는 전국 평균 강수량이 평년의 73%에 불과했다. 1973년 이래 역대 최저 3위 기록에 해당된다.
연말에는 이상고온과 이상강수 현상이 나타났다. 11월에는 한달의 절반(14.9일) 동안 비가 내렸다. 강수량은 평년 대비 267%에 달했다. 12월에는 이상고온 현상으로 월평균 기온이 1973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11·12월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2℃ 높았다.
이상기후의 원인은 엘니뇨(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 상승)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이상기후가 빈발하면서 농업분야의 피해가 잇따랐다. 4월에는 이상저온으로 배 과원의 꽃이 얼어죽어 경기 등 12개 시·도에서 6131㏊, 60억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했다. 4월28~29일엔 전남 진도군 일대에 때아닌 집중호우가 내려 2억원이 넘는 농작물 침수피해가 났다.
6월13~14일엔 전남·북, 경북 일대에 강풍을 동반한 우박이 떨어져 1107㏊의 농경지가 초토화됐다. 6월 이후 가뭄에 따른 강수량 절대부족으로 중·북부지방 39개 시·군의 논·밭 7358㏊가 가뭄피해를 입기도 했다.
농식품부는 이상기후에 따른 농작물·농업시설 피해 예방 및 최소화를 위해 이상기상 일상화에 따른 재해대응 기술정보를 적기에 제공하고, 재해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폭을 넓혀나가겠다고 밝혔다.
성홍기 기자 hgsung@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