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정부가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는 것이 생산성 향상과 소득 증대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농가에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창조농업 실현을 위한 ICT 기술융합의 전략과 과제’ 보고서를 보면 현재 영농에 ICT를 도입하지 않은 농가의 70.6%는 ‘앞으로 ICT를 도입할 의사가 있다’는 의향을 내비쳤다.
ICT 도입 결정 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투자 대비 성과의 불확실성’과 ‘투자·관리비용 부담’이라고 응답한 농업인이 각각 24.6%로 가장 많았다.
이는 농가가 스마트농업에 대한 막연한 필요성은 느끼지만 막상 실행 단계에서는 소득 증대 효과에 대한 불안감으로 결정을 주저한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스마트농업 성공모델 창출과 안정적인 자금 지원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윤성은 농경연 초청연구원은 “농업부문 ICT 융합의 확산을 위해선 우선적으로 성공모델을 만들어내야 하며, 개별적 지원보다는 시설현대화사업 등 하드웨어 지원과 연계한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국고 보조와 융자 지원금도 상향돼야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농업의 투자 대비 성과에 대한 구체적인 컨설팅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진홍 경기도농업기술원 주무관은 “농가가 농장에 첨단기술을 도입했을 때 얼마 만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업인 기술교육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첨단기술 사용 자체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한 농가가 많아서다. 김홍상 농경연 선임연구위원은 “네덜란드 PTC+(실용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국내 서비스 확산과 노지·시설·축산 등 유형별 ICT 실습장 설치·운영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올해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ICT를 접목한 수출전문 첨단시설원예단지 10㏊와 파프리카·토마토 중심의 ICT 융복합 첨단온실 16㏊를 신규 조성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최상일 기자 csi18@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