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농가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교역조건지수가 2014년에 비해 약간 높아졌지만, 재배면적 감소에 따른 판매가격지수 상승이 교역조건지수 개선의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농가교역조건이란 농가가 생산하는 농산물의 판매가격지수를 농가가 구입하는 농자재 등의 지수(농가구입가격지수)로 나눠 100을 곱한 수치다.
통계청의 ‘2015년 농가 판매 및 구입가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교역조건지수는 104.4로 2014년의 102.7에 견줘 1.7%포인트 상승했다. 2012년 이후 2년 연속 떨어지다 소폭 반등한 모양새다. 이런 결과는 농가판매가격지수 상승에 기인한다. 이 지수는 지난해 113.8로 2014년(111.3)에 견줘 2.5%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판매가격지수 상승이 농가 경제에 큰 보탬이 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입가격지수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구입가격지수는 109로 전년(108.4)에 견줘 0.6%포인트 상승했다. 인건비를 나타내는 농촌임료금은 4.4%나 높아져 가뜩이나 일손 부족 및 인건비 상승에 시달리는 농가들을 더욱 어렵게 했다. 가축(23.9%)과 농약(5.7%)·농기계임차료(1.2%) 등도 구입가격지수가 뛰었다.
종자(-4.7%)를 비롯한 영농자재가격지수는 하락했다. 하지만 이는 지난해 재배면적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탓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재배면적은 사료작물을 제외하고 모든 부류에서 줄었다. 채소류의 경우 2015년 19만2000㏊로 2014년에 비해 10.2%나 감소했다. 같은 기간 곡물류는 3.6%, 특용·약용작물은 4.4%, 과실류는 0.5% 줄었다. 결국 재배면적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 농산물 판매가격지수가 상승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열린 2016년 농업전망에서 “중장기적으로 재배업의 소득 감소로 인해 특용·약용작물과 사료작물을 제외한 모든 작물별 재배면적은 감소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서륜 기자 seolyoon@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