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1월29일 발표한 ‘2015년 양곡소비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가구 부문)은 62.9㎏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의 65.1㎏에 견줘 2.2㎏(3.4%) 감소한 것이다. 30년 전인 1985년의 128.1㎏에 비해서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감소율도 컸다. 지난해 감소율 3.4%는 2013년의 3.7%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큰 수치다. 2012년까지 1~2%를 기록했던 쌀 소비량 감소율이 2013년 이후 3%대로 높아졌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쌀과 기타 양곡(보리·두류·서류 등)을 합한 양곡 소비량도 지난해 71.7㎏으로 2014년보다 2.1% 줄어들어 역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업체 부문 쌀 소비는 57만5460t으로 2014년(53만4999t)보다 7.6%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가공용 수입쌀이 주정용으로 대거 공급되면서 생긴 결과다. 실제로 지난해 주정 제조업의 쌀 소비량은 15만5754t으로 2014년(7만8449t)에 견줘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쌀이 남아돌자 주정 제조업체에 타피오카 등의 대용으로 가공용 수입쌀을 대거 공급했다. 지난해 주정 제조업체의 쌀 소비량이 2014년 수준이라고 가정하면, 사업체 부문 쌀 소비량도 감소세를 피하지 못했다. 결국 지난해 쌀 소비는 사실상 가구와 사업체 부문 모두에서 줄어든 셈이다.
정부가 그동안 쌀 소비촉진 대책을 추진했지만 줄어드는 쌀 소비를 막지는 못했다. 농식품부는 2014년 민관합동 쌀 소비촉진협의회까지 구성해 쌀 소비 홍보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이 사업들이 쌀 소비 확대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평가다. 쌀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밥 중심 식문화의 장점 및 영양학적 우수성 등 객관적 정보에 근거한 홍보 추진이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2015년에는 ‘쌀 소비 감소율 제로(zero), 가공용 쌀 소비량 53만t으로 확대’라는 목표를 내걸었다. 쌀 소비활성화 예산도 60억원으로 2014년 40억원에서 50% 늘렸다. 그러나 쌀 가공업체에 대한 안정적인 원료 공급체계는 여전히 미흡하며, 판로확대도 더디다. 실제로 군 급식에 쌀국수 납품 횟수를 기존 1회에서 3회로 늘리려던 계획은 무산됐고, 공영홈쇼핑에 쌀 가공제품 전용 시간을 운영하려던 방안도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를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쌀 소비촉진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계속 나오고 있다. 그동안의 쌀 소비촉진 대책을 재점검해 실효성을 높인 차원이 다른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게 농업계의 주문이다.
임병희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사무총장은 “어린 아이들의 입맛을 밥에 친숙해지도록 하는 대책이 가장 중요한 대책 중 하나”라며 “그런 차원에서 ‘쌀 중심 식습관 교육 학교’와 같은 사업을 지속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