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장주, 차량·기사소독 꼼꼼히 챙겨야”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장주, 차량·기사소독 꼼꼼히 챙겨야”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6-02-19 조회 1534
첨부  

출처:농민신문


 


 


“농장주, 차량·기사소독 꼼꼼히 챙겨야”


농협사료 공급차량 동행취재

배달 끝날 때마다 사료탱크 클리어링 실시

“농가, 소독기결빙확인·주기적 축사소독을”


포토뉴스

가축질병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출입차량 관리는 물론 농가에서도 소독기 결빙 확인, 축사소독 등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사진은 농협사료
운반차량이 배합사료를 벌크통에 붓는 모습.



 “사료를
싣고 가도 농장 귀퉁이에 설치해둔 벌크통에 붓고만 오지 축사 근처에는 얼씬도 안 합니다.”



 때늦은 동장군의 기승에 기온이 영하
10℃ 아래로 떨어진 16일 아침. 10t짜리 사료차를 몰고 구입 의뢰 농가로 향하는 농협사료 충청지사 소속 정관용 기사(51)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활동성이 강한 동절기에는 더욱 조심스럽다”며 축산현장을 드나드는 긴장된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반추동물사료를 전문으로 운반하는 사료차
운전경력 20년의 정 기사는 “하루 서너곳의 한우 농장에 사료를 공급한다”고 했다.



 차량 소독기로 흠뻑 샤워를 한 정 기사의
차가 공장 계근장을 나선 지 30여분. 대시보드(dashboard) 위에 설치된 차량무선인식장치(GPS)에 빨간불이 켜지며 “축산시설을
방문했습니다”라는 음성안내가 나왔다. GPS의 멘트대로 과연 사료차는 한 축사 앞에 당도했고, 농장 입구 소독기 밖에는 농장주 최태성씨(청주시
오송읍 서인농장)가 마중을 나와 있었다. 계근장을 통과하는 순간 계량확인서와 차량 출발 내역이 바로 농장주에게 문자로 발송된다고 했다.



 “오늘은 손님까지 달고 왔네. 기자양반은 농장 안으로 들어가지 마세요.” 



 기자의 출입을 막은 농장주 최씨는
“방역 안전도 면에서는 농협사료가 믿을 만하지만, 그래도 낯선 사람이 타고 있으면 신경이 날카로워진다”며 솔직한 심정을 전했다.
축산물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해썹) 농장인 이 농장은 차량소독기와 대인소독기 모두를 갖추고 있었으나, 대인소독기는 고장으로 수리 중이었다.



 다시 공장으로 돌아온 정 기사는 두번째 배달에 앞서 폐사료 보관소로 이동해 사료탱크 클리어링을 실시했다. 클리어링은 탱크에 든
사료 찌꺼기를 모두 빼내고 사료배출관을 청소하는 것으로, 사료 배송과정에서 혹시 묻어왔을지 모를 병원균을 떨어내기 위해 한차례 운행이 끝날
때마다 반드시 거치는 작업이다



 두번째 농장은 청주 시내에 있는 ㅈ농장으로, 들판 가운데 외따로 떨어져 있어 방역이 한결 수월해
보였다. 하지만 이 농장은 규모가 작아서인지 대인소독기는 물론 차량소독기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개정된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르면
50㎡(약 15평) 이상의 축사는 2017년 2월23일까지 소독시설을 설치하도록 돼 있지만 이 농장은 여기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이 농장은 소독시설이 없는 관계로, 정 기사는 방역복장을 갖춘 후 사료차에 부착된 소독설비로 차량 바퀴, 운전석 발판 등을
소독한 다음 농장의 문을 열었다. 싣고 온 사료를 내릴 동안 얼굴을 보이지 않던 농장주는 하차작업이 끝나갈 때쯤 차를 몰고 농장으로 와
계량확인서와 보증성분표를 확인했다.



 돌아오는 차 안에서 정 기사는 “사료차가 출발했다고 계근장에서 문자가 갔는데도 ‘알아서
부어놓고 가라’며 농장에 나와보지 않는 농장주들이 간혹 있다”며 “단골 기사들을 믿어주는 거야 고맙지만, 철저한 방역을 위해서는 농장주가 직접
현장을 찾아 소독설비 점검, 차량 및 기사 소독 여부 확인 등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고 아쉬운 점을 지적했다.



 동행 취재를 마친
기자에게 최병하 농협사료 청주공장 공장장은 “농림축산검역본부 역학조사 결과 출입차량이 구제역 전파의 주범이라고 밝혀진 만큼, 수시로 현장을
방문해야 하는 기사 교육에 각별히 신경쓰고 있다”며 “농가들도 겨울철 방역이 힘들다고 소홀히 하지 말고 소독기 결빙 확인, 주기적 축사소독 등에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주=이승환 기자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