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한·칠레 FTA 추가협상 ‘관심’ 글의 상세내용
제목 한·칠레 FTA 추가협상 ‘관심’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6-02-26 조회 764
첨부  

출처:농민신문


 


한·칠레 FTA 추가협상 ‘관심’


발효 12년만에…개방수준 낮은 농축산물 논의할듯



포토뉴스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의 개방 폭을 확대하는 추가협상이 조만간 시작된다. 한·칠레 FTA는 우리나라가 맺은 첫번째 FTA로, 4월이면 발효
12주년을 맞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칠레 FTA 개선 관련 공청회’를 3월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공청회는 정부가 FTA 협상 개시에 앞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다.



 정부가 농업에 큰 타격을 줄 한·칠레 FTA
추가협상에 나선 것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칠레는 12개 TPP 회원국 중 하나다. 한국의 TPP
가입조건으로 ‘FTA 추가협상’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칠레 FTA 발효 이후 양국의 교역액이 4배
증가하는 성과를 냈지만, 그 사이 양국이 다른 나라와 추가적인 FTA를 체결하면서 상대국 내에서 경쟁여건이 많이 변화하는 등 FTA의 개선
필요성이 계속해서 제기돼왔다”고 말했다.



 추가협상에서는 관세 철폐·인하 대상에서 빠졌거나 개방 수준이 낮은 농축산물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칠레는 2002년 10월 FTA를 체결할 당시 칠레산 농축산물 1432개(HS 10단위 기준) 가운데 391개<표
참조>는 관세를 그대로 놔둔 채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종료 이후 개방 수준을 다시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산업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발효 6주년을 맞은 한·인도 경제동반자협정(CEPA, FTA와 같은 개념임) 개선 논의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김상영 기자 supply@nongmin.com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