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청정화를 선언했지만 축산업계는 질병 발생의 정확한 원인 규명이 되지 않아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우리나라가 세계동물보건기구(OIE) 동물위생규약에 따른 청정국 지위 회복 조건에 충족돼 2월28일자로 ‘고병원성 AI 자체 청정화’를 선언하고, 청정국 지위를 회복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지위는 최종 살처분 이후 3개월간 AI 추가 발생이 없고 바이러스가 돌아다닌다는 증거도 없다는 점을 입증하는 예찰자료를 OIE에 제출하면 자동으로 부여된다.
현재 AI(H5N8형)는 2014년 1월16일 전북 고창에서 발병한 뒤 전국으로 확산됐다가 지난해 11월15일을 마지막으로 추가 발생이 없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이번 방역당국의 청정국 선언에 대해 축산업계는 AI 바이러스가 어디에서 어떤 경로로 유입됐는지 명확하게 밝히지 못한데다 언제든지 재발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어 반길 수만은 없는 형편이라고 지적한다.
축산업계는 우선 미국과 대만 등 우리와 교류가 잦은 국가에서 최근까지 AI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가장 많이 걱정한다. 올 1월 미국에선 H7N8형 AI가 발생했으며, 대만에서도 지난해 연말과 올 1월 H5N8형과 H5N2형 AI가 각각 발병했다.
3~5월은 홍콩·대만 등에서 남방철새가 도래하는 시기여서 AI 바이러스가 언제든지 국내로 유입될 수 있어 농가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양계 생산자단체 관계자는 “지난해 9월 방역당국이 AI 종식 선언을 검토 중이었다가 같은 달 전남 강진과 나주에서 의심축이 발견돼 계획이 물거품이 된 경우처럼 한동안 AI가 발생하지 않아 안심하고 있다가 얼마 못 가 재발한 일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금까지 발생한 AI의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한 상태”라며 “농가들이 이번 정부의 청정화 선언을 믿고 방역을 소홀히 할 소지가 높아 또다시 AI가 발생할까 봐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AI가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특별방역대책 기간인 올 5월까지 AI 발생 취약지역을 집중 관리하고, 상시 예찰검사를 실시하는 등 방역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문희 기자 mooni@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