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4주년을 맞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은 그동안 ‘농림축산식품 분야 교육·홍보·정보화 기관’으로서 많은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농민들의 역량이 높아지고, 농식품 관련 정보 제공이 확대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적극적인 홍보와 농민들과의 소통으로 굵직한 농정 현안이 큰 무리 없이 추진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확산 등 과제도 많다는 지적이다.
◆경쟁력 있는 농민 육성=농정원의 가장 큰 역할 중 하나가 바로 ‘교육’이다. 농정원은 ‘교육 없이는 농업의 미래 또한 없다’는 기본 인식 아래 각종 교육에 힘쓰고 있다. 우선 미래세대 농민 육성을 위해 농고·농대 학생을 대상으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창조농업 선도 고교(3개)와 영농창업 특성화대학(5개)을 선정해 미래 농업인력의 영농 취·창업을 위한 교육을 대폭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농업마이스터대학과 첨단품목대학을 통해 전문 농업경영인의 역량 제고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토마토를 대상으로 시작한 첨단품목대학은 농업 생산성 향상 등에 큰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정원에 따르면 토마토대학 교육 수료 3~6개월 후 생산성은 25.2% 높아지고, 생산비는 9.5%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딸기·양돈·버섯류 등으로 품목을 확대해 대학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ICT 융복합 촉진=농정원은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발굴 및 확산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자체 공모를 통해 ICT 융복합 모델 8개를 발굴했고, 권역별 설명회나 컨설팅·홍보를 통해 이를 확산하고 있다. ICT 융복합 모델이란 다시 말해 ‘스마트팜’으로, 2012년 36개 농가를 시작으로 2013년 80개, 2014년 128개, 2015년 204개 농가에 보급했다.
농정원은 또 농식품 분야 정보서비스 제공을 통해 ‘정부 3.0’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생산-유통-소비’에 이르는 원스톱 정보서비스를 기반으로 ‘옥답 (www.okdab.com)’ 웹·모바일 서비스를 개편했고, 식품안전에서 소비·식생활까지 농식품 종합정보 통합서비스를 강화했다.
이밖에 ICT를 활용한 농정의 효율화, 투명성 제고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농업경영체 데이터베이스(DB) 분석을 통해 직불금 부당 수령 차단을 지원한 결과, 2014년도 95억원(1만6521㏊)의 부당 수령을 방지했다.
◆농정 소통 지원, 농식품에 대한 인식 제고=쌀 관세화 및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주요 농정 현안이 큰 갈등 없이 마무리된 것도 농정원의 숨은 역할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평가다. 농정원이 농림축산식품부를 도와 이러한 현안 등에 대해 언론 및 국민·농민 등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와 소통에 나선 것이다.
농정원은 농업·농촌의 다원적 가치 확산 및 귀농·귀촌 활성화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쉼터·치유농업·곤충산업 등 새로운 다원적 가치 발굴 및 확산을 통해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데 농정원의 역할은 매우 컸다.
또 도시민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귀농·귀촌종합센터를 서울로 이전한 결과, 귀농·귀촌에 대한 도시민의 관심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는 평가다. 실제로 센터를 옮기기 전에는 1일 평균 3.2명이던 귀농·귀촌 상담 건수가 이전 이후인 2014년 하반기에는 6.3명으로 부쩍 늘었다.
국가인증농산물의 소비촉진 및 쌀 소비홍보도 농정원의 몫이다.
◆과제는=농정원의 교육 프로그램은 공급자 위주라는 지적이 여전히 나온다. 교육 수요자가 교육과정 선택 등 예측 가능한 교육기회를 갖기 어렵고, 원하는 수준의 교육을 받기가 곤란하다는 것이다. 또한 농민 교육 이수자에 대한 지속적·통합적 관리체계도 미흡하다는 평가다.
농업 유관기관 간 ‘한목소리’ 홍보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과제로 꼽힌다. 주요 농정 현안에 대해 명확한 전략이나 정보 공유가 미흡해 유관기관들이 각자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이다.
첨단농업 육성을 위한 ICT 융복합 확산을 촉진하는 것도 과제다. ICT 융복합을 위해서는 시설 현대화가 필수지만 대부분 시설이 열악해 확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ICT에 대한 농가의 인식과 투자 성과에 대한 농가의 확신 부족도 ICT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홍보 강화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농정원은 “농업경영체 DB를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체계를 마련하고, ICT 확산을 위한 현장지원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서륜 기자 seolyoon@nongmin.com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농업ㆍ농촌 정보화), 농업인재개발원(농업인력육성), 농촌정보문화센터(농업ㆍ농촌 가치 및 소비 홍보) 등 세 기관이 통합돼 2012년 5월23일 설립됐다. 교육과 홍보ㆍ정보화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업무이고, 함께 있을 때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후 국제통상 업무가 추가됐고, 2014년에는 농촌진흥청으로부터 귀농귀촌상담센터까지 이관받았다. 2015년 기획재정부의 공공 분야 2차 기능 조정에서 농림축산식품 분야 교육 및 홍보 기능을 농정원으로 일원화했다. 지난해 9월21일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