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농업정책이 ‘선택과 집중’에 치중한 나머지 소수의 대규모 농가만 경쟁력이 강화된 반면 다수의 소규모 농가들은 별다른 지원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몰려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충남도가 8일 논산시청에서 연 ‘3농혁신 포럼’에서 참석 농민들은 이같이 한목소리를 내고 “강소농 중심의 국가 농업정책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소규모 고령농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농민들은 또 “시장경쟁 구도에서 경쟁력을 갖지 못한 소규모 농가는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이고, 농가 간 격차는 더욱 벌어져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3농혁신 특화사업과 지역혁신모델 구축사업을 제외하면 소규모 농가에 대한 지원사업 및 예산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포럼에서는 고령농가 조직화, 농산물 품목 다변화, 농산물 안전성 확보 등이 그 대책으로 제시됐다. 이를 위해 충남도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는 데도 의견이 모아졌다.
5월20일 서천군에 이어 두번째로 열린 이날 포럼에는 허승욱 충남도 정무부지사와 황명선 논산시장, 김호 3농혁신위원장, 송덕빈·전낙운 도의원, 농민단체 대표, 각 마을 이장과 농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허승욱 정무부지사는 “이번 포럼을 통해 도내 소규모 고령농을 위한 3농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소규모 농가의 안정적 소득 확보를 위해 생산농가 조직화와 로컬푸드 통합지원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3농혁신 현장포럼은 6월 중 청양군·당진시에서, 7월에는 금산군·천안시·예산군·홍성군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충남도의 3농혁신은 ▲지속 가능한 농어업 ▲살기 좋은 농어촌 ▲행복한 농어업인을 위한 정책을 뜻한다.
논산=김광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