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이모작 콩재배땐 파종량 늘려야 글의 상세내용
제목 이모작 콩재배땐 파종량 늘려야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6-06-22 조회 1316
첨부  

출처: 농민신문


 


이모작 콩재배땐 파종량 늘려야


만파적응성 품종 ‘우람’ 적당


포토뉴스

 남부지방의
콩 적정 파종시기는 6월 중하순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콩 앞그루 작물로 마늘·양파·배추 등을 재배하는 농가가 늘어나면서 파종시기에 비가 많이 와
파종이 늦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모작 재배로 콩 파종이 늦어질 경우 수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파종량을
늘리고 만파적응성 품종을 선택할 것을 권장했다.



 파종밀도는 구멍 한곳당 4알씩이 적당하다. 농진청의 밀도에 따른 생육·수량
실험(70㎝×20㎝ 재배 때) 결과에 따르면 7월 중순 이후 구멍 한곳당 4알씩 파종할 경우 2알씩 파종할 때보다 수량이 3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종시기가 늦어지면 짧은 생육기간으로 키가 작아져 촘촘하게 심어도 잘 쓰러지지 않는다.



 또
<우람>(사진) 등 만파적응성 품종을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콩 파종이 7월 상순 이후가 되면 생육 후기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기온이
내려가 수량이 떨어지기 때문. 농진청에 따르면 <우람>은 7월20일에 파종해도 콩알의 크기가 굵게 유지돼 10α당 263㎏(6월20일
파종 대비 79%)가량을 수확할 수 있다.



 강항원 생산기술개발과장은 “콩 파종이 너무 늦어지면 성숙기에 서리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남부지방은 7월 하순, 중부지방은 7월 상순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다정 기자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