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설원예를 중심으로 보급·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팜의 범위를 넓혀 ‘현장 밀착형 기술’이 개발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열린 ‘한국형 스마트팜 산업전략 국제 심포지엄’에서 김상철 농촌진흥청 스마트팜개발과장은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다양한 영농 애플리케이션(특정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응용 프로그램)이나 농자재 공동구매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스마트팜 기술 개발은 농가에서 오랫동안 필요성을 주장해온 것이기도 하다. 일부 농가에서도 시설현대화를 통한 스마트팜은 아직 실험단계로, 농업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전반을 ‘스마트팜’이라고 칭하는 만큼 현재의 시설원예 집중 전략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는 여론이다.
김 과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기반으로 농민 간 노하우 공유를 통한 ‘사이버 작목반’ 등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스마트기기를 통해 얻는 다양한 실시간 정보를 농업 생산성 증대와 비용 절감 기술로 연계시키는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소비자 중심의 기술도 개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잔류농약이나 원산지 등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농산물 안전성 정보에 스마트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과장은 “소비자가 원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 기술을 개발해 유통·소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농진청 스마트팜개발과에서 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그간 한국형 스마트팜 확산의 걸림돌로 지적돼온 기기·부품 표준화 문제에 대해서는 “지난해 제어기 9종에 대해서는 표준화가 이뤄졌고, 6월 중으로 센서 13종에 대한 표준화 논의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다정 기자 kimdj@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