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발효 글의 상세내용
제목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발효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6-11-22 조회 697
첨부  

출처: 농민신문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발효


“농업계도 온실가스 감축 힘써야”


농업 감축 목표량 매년 증가

화석 에너지 사용 줄이기 에너지 절감시설 확대 등 “자구 노력 강화” 지적 나와


포토뉴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파리협정이 4일 발효됨에 따라 농업계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 소비구조를 바꾸고 에너지 절감시설
설치를 늘리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파리협정 채택에 앞서 UNFCCC에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줄이겠다’는 감축 목표를 제출했다. 이중 25.7%는 국내에서, 나머지 11.3%는 배출권 구입 등을
통해 해외에서 감축하겠다고 정했다. 산업·수송·건물·농어업 등 부문별 감축량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하지만 부문별 감축량은
교토의정서에 따라 2009년 이명박 정부가 제시한 감축 목표량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정부는 2020년까지 BAU 대비
30%(5억4300만t)를 줄이겠다고 목표치를 제시했다. 이번에는 2030년까지 37%를 줄이겠다고 했으나 해외에서 감축하는 11.3%를
제외하면 국내 감축량은 5억3590만t으로 2020년 감축 목표량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농업 부문 감축 목표량은 2020년
148만4000t이다. 농식품부는 이에 따라 연도별 감축량을 정했다. 2015년에는 50만9000t을 줄이는 게 목표였다. 다행히 70만t을
감축해 목표 대비 137.5%를 달성했다.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기, 다겹보온커튼 및 순환식 수막 시스템,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
설치 등을 통해서다.



 하지만 감축 목표가 2016년 85만5000t, 2017년 101만2000t, 2018년 117만t,
2019년 132만7000t, 2020년 148만4000t 등으로 갈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에너지 소비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우리나라 농림어업 분야 에너지 소비 구조는
석유류가 64%로 제일 높고 전력(30.6%)·연탄(5.3%)·가스류(0.1%)가 그 뒤를 잇는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러한
화석 에너지 사용을 줄여야 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 등의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학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 확대 및 탄소 배출권 거래 활성화 등과 같이 제도적인
장치를 통해서도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파리협정 발효 이후 첫 당사국 총회인 제22차 UNFCCC
당사국총회(COP22)가 7~18일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개최됐다. 이번 총회는 파리협정의 구체적인 이행 체계 구축 등을 위한
출발점이다.



 서륜 기자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