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정부수매가 차질을 빚고 있다. 재배면적 감소와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이 줄면서 콩 재배농가들이 정부수매를 기피하고 있어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월17일부터 12월9일까지 콩 수매실적이 250t이라고 밝혔다. 이는 올해 콩 정부수매 계획량(2만5000t)의 1%로 사실상 정부수매에 응하는 콩농가가 거의 없는 셈이다.
정부가 올 5~7월 파종기 때 콩 생산농가와 체결한 수매약정 물량에 견주면 수매량 비중이 1.2%에 불과하다. 올해 수매약정된 물량은 일반콩 2만117t, 콩나물콩 912t 등 2만1029t이다.
현 상태로는 정부수매기간(12월30일까지) 내에 콩 수매계획량을 달성하기가 사실상 힘들어졌다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시중 콩값이 정부수매 가격을 웃도는 상황이라 콩 재배농가들이 정부수매를 기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9일 현재 백태 상품 도매가격은 1㎏당 5366원으로 지난해 12월 가격(4225원)보다 1000원 이상 높다. 하지만 정부수매 가격은 대립종 1등급이 지난해와 같은 1㎏당 3868원에 불과해 도매가격뿐만 아니라 4000원 초반대의 산지가격보다도 낮다.
콩값 강세는 재배면적이 감소한데다 가뭄·가을장마로 작황이 좋지 않아 콩 생산량이 전년보다 14~22% 감소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수매 차질로 정부가 저율관세할당(TRQ)을 크게 늘려 콩 수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복수의 전문가들은 “정부가 수매기간을 연장하고 수매가격을 인상하는 등 콩 정부수매가 활성화되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남우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