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차량 소독후 최소 5분 지나 농장 진입을” 글의 상세내용
제목 “차량 소독후 최소 5분 지나 농장 진입을”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7-03-09 조회 468
첨부  

출처: 농민신문


“차량 소독후 최소 5분 지나 농장 진입을”


정현규 한국양돈수의사회장이 제안하는 구제역 방역 요령

약 분포 15분 후에 살균효과

백신, 온도에 큰 영향 안받아 3~4시간 실온보관 후 접종

쉬운 매뉴얼·농가 훈련 필요


포토뉴스

경기 안성시 일죽면에 위치한 도드람 안성LPC(축산물종합처리장) 거점소독시설에서 정현규 한국양돈수의사회장(가운데)이 시설 관계자들과
소독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바이러스로 가장 오염된 곳이 바로 운전석입니다. 이곳에 살균효과가 나타나도록 오존 농도를
좀더 높여야죠.”



 2일 경기 안성시 일죽면에 위치한 도드람 안성LPC(축산물종합처리장) 거점소독시설. 2016년 설계에 들어간 뒤
최근 공사가 완료돼 본격적인 가동을 앞두고 있는 거점소독시설에서 정현규 한국양돈수의사회장은 방역 효과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 시설 관계자들과
논의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최근 발생한 구제역으로 요즘 정 회장은 몸이 열개라도 모자랄 만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거점소독시설의 기술책임자 외에도 도드람양돈농협 동물병원장, 농림축산식품부의 가축방역심의회 위원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 방역 현장을 누비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그가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업무는 단연 수의사로서 농가들을 컨설팅하는 일이다. 현재 방역문제로 현장을 방문하진 못하지만
틈틈이 전화로 농가들에게 구제역 방역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그가 농가들에게 가장 강조하는 점은 ‘차량 소독’이다. 특히
가축 출하차나 사료차 같은 축산차량을 소독한 후엔 잠시 정차시킨 뒤 농장 내 진입을 허가하라고 당부한다. 소독약은 분포 후 15분이 지나야
살균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정 회장은 “미국에선 농장에 출하차가 오면 농가가 직접 소독을 실시한 뒤 20분 정도 세워놨다가
들여보낸다”며 “국내 농가들은 그 정도까진 못하더라도 최소한 5분은 세웠다가 농장에 들여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농가들로부터 문의를 많이 받는 구제역 백신 적정온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최근 한 언론이 정부와 지역축협이 권장하는 백신의
적정온도가 서로 다르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하면서 논란이 일었었다. 적정온도를 정부는 18℃가량, 한 지역축협은 20℃ 이상, 또 다른 축협은
8℃ 이상으로 다르게 제시한 탓이었다.



 어떤 매뉴얼이 맞냐는 질문에 그는“다 맞아요”라고 간결하지만 확신에 찬 목소리로 답했다.
백신의 주성분은 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단백질이어서, 백신병을 끓는 물에 넣어 녹이거나 냉동실에 보관해 얼리지만 않으면 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설명이다.



 정 회장은 “오전에 쓸 백신은 농장에 출근하자마자, 오후에 쓸 건 점심 때 각각 3~4시간 실온에 꺼내두면
된다”면서 “다만 백신은 오일형태여서 너무 차가우면 가축의 몸속에 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개선돼야 할 방역정책에 대한 조언도 잊지 않았다.



 그는 “최고의 방역정책은 모든 농가들이 실천할 수 있는 쉬운 매뉴얼”이라고 딱
잘라 말했다. 우리나라의 방역정책은 내용면에서는 훌륭하지만 현장에서 농가들이 실천하기엔 어렵고 복잡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함께
‘방역 훈련’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단순히 농가들에게 방역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교육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매뉴얼에 따라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농가들을 훈련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얘기다.



 정 회장은 “정부는 제대로 된 시스템을 구축하고, 축산단체들은
이 매뉴얼대로 농가들을 교육·훈련하고, 농가들은 제대로 방역활동을 펼친다면 우리나라 방역도 일본이나 미국 등 축산강국 못지않은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성=최문희 기자 mooni@nongmin.com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