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제초제 사용 전 벼 품종 확인하세요 글의 상세내용
제목 제초제 사용 전 벼 품종 확인하세요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7-05-23 조회 407
첨부  

출처:농민신문


 


제초제 사용 전 벼 품종 확인하세요


‘새미면’ ‘팔방미’ 등 일부 말라죽어…농진청, 주의 당부

 저항성 논 잡초 전용약제가 일부 벼 품종을 말라죽게 할 수 있어 농가의
주의가 요구된다.



 농촌진흥청은 모내기한 논에 벤조비사이클론·메소트리온·테퓨릴트리온이 함유된 제초제를 뿌리기 전에 반드시 벼 품종을
확인해야 한다고 17일 당부했다. 올 4월 기준 시판 제초제 가운데 이같은 성분을 지닌 제품은 107종이나 된다.



 이들 제초제는
물달개비와 올챙이고랭이 등 저항성 잡초를 방제하는 데 효율적이지만 몇몇 벼 품종에는 약해를 발생시킨다.



 농진청은 특히
쌀과자·막걸리·쌀국수 원료로 사용되는 <새미면> <팔방미> <다산> <남천> <안다>
<아름> 품종에 이같은 약해가 심하게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학계에는 떡 가공용으로 쓰이는 <향미벼>
<한강찰벼>에도 약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고, 일반계 품종인 <삼백> <금영> <한들>
<조아미> <산들진미> 등에도 약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지난해 경기 김포·이천, 인천
강화지역 등에서 모내기 후 제초제 약해가 발생했다. 약해를 입은 벼는 잎이 하얗게 변하고 생육이 저하돼 심하면 벼 전체가 말라죽게 된다.



 김상수 농진청 농자재평가과 연구사는 “약해가 발생하지 않는 품종이라도 엽면살포 등 등록된 방법과 다르게 사용하면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며 “제품 포장지를 주의깊게 살펴보고 약제를 사용해달라”고 당부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