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건고추값 5년 만에 회복세…중국산 수입 급증 우려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7-09-22 | 조회 | 438 |
첨부 |
![]() ![]() ?atchFileId=FILE_000000000124939&fileSn=0 중국산냉동고추.jpg |
||||
출처:농민신문
재배면적·생산 단수 감소로 건고추값 평년수준 웃돌아 중국산 냉동고추 세척·건조해도 가격은 국산의 60% 불과 “정부, 고추 생산기반 유지·중국산 둔갑 유통 대책 마련해야” 국내산 건고추값이 예년 수준을 회복하면서 중국산 건고추 수입이 급증할 것이란 우려가 크다. 경기 평택항 인근 한 보세창고에 중국산 냉동고추가 담긴 포대가 가득 차 있는 모습. 수년 동안 바닥세를 보이던 건고추 값이 모처럼 평년 수준을 웃돌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시장을 야금야금 잠식해 생산기반을 위협하고 있는 중국산 냉동고추 수입이 더욱 활개를 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 재배면적 큰 폭 감소, 8월 고추값 평년 수준 회복=경북 서안동농협 고추공판장의 건고추 가격은 전국 기준가로 자주 활용된다. 이곳에서 거래된 건고추(화건) 상품 한근(600g)당 8월 평균가격은 7660원으로, 평년보다 24%가량 높았다. 8월 건고추값이 평년값 이상으로 회복하기는 2013년 이후 5년 만이다. 올해 수확기 건고추 가격 흐름이 예년과 다른 양상을 띨 것이라는 전망은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다. 최근 5년 동안 건고추값이 생산비 이하로 형성되면서 고추농사를 포기하는 농가들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올봄 정식기에 극심한 가뭄으로 재배면적이 준 것도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이 8월 말 발표한 올해 고추 재배면적은 2만8329㏊로, 지난해보다 12%나 감소했다. 전통적으로 고추를 많이 심던 지역의 감소폭이 더욱 컸다. 전국에서 고추 재배지가 가장 넓은 경북에서만 1058㏊가 줄었고 뒤를 이어 전남이 955㏊ 감소했다. 재배면적이 많이 준 데다 고추의 생육상태도 좋지 않아 생산 단수까지 줄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산 건고추 생산량이 재배면적과 단수 감소로 전년보다 15% 이상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고추 주산지농협 관계자는 “통계청 자료만 보면 최근 10년 동안 고추 재배면적이 절반 가까이 준 것으로 나타나지만, 산지에서 체감하는 감소폭은 훨씬 크다”며 “최근 4~5년 사이 건고추값 폭락을 겪으면서 자가소비용 외에 농사를 늘리려는 농가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 중국산 냉동고추 수입 급증 우려=국내산 건고추값의 오름세로 중국산 건고추 수입이 덩달아 늘 것이라는 우려는 현실화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8월 건고추로 환산한 고추류 수입 실적은 8423t으로, 지난해(8312t)나 평년(6827t) 수준을 웃돌았다. 2016년 8월~2017년 7월 한해 동안 반입된 건고추 수입량도 평년보다 7% 이상 증가한 11만189t을 기록했다. 유통 전문가들은 국내산 고추값 회복을 틈타 값싼 중국산 냉동고추나 혼합조미료 수입, 보따리상을 통한 건고추 불법 반입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전망한다. 농경연이 분석한 9월 기준 중국산 냉동고추 민간 수입 가능가격은 600g당 610원이다. 이 냉동고추를 국내 건조장에서 세척·건조해도 국내산 건고추의 60% 수준인 4500원 안팎에서 도매가격이 형성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중국산 냉동고추는 2000년 고율관세(270%)인 건고추 대체품목으로 수입이 허용된 뒤 저율관세(27%)를 등에 업고 연평균 20% 이상 수입량이 증가했다. 한편에선 중국산 건고추 수입이 제한적으로 완만하게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정부가 가격 급등 때 정부 비축물량 방출카드를 내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8월 말 기준 정부가 보유한 건고추 비축물량은 모두 1만904t으로, 대부분 국내산이다. 정부는 재고부담 완화와 물가안정을 명목으로 2013년산(1616t)부터 순차적으로 비축물량을 시장에 풀 계획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국내산 건고추 수요는 대부분 가정용이고 김장철까지만 이어진다”며 “이미 김치가공공장이나 급식업체는 80% 이상, 외식업체의 60% 이상이 중국산 고춧가루로 돌아선 만큼 국내산 건고추값 상승은 수입량 증가에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농민단체 관계자는 “양념채소 중 건고추는 자급률이 40% 수준까지 주저앉을 정도로 생산기반 붕괴가 심각하다”며 “생산기반 유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장기적인 대책 마련과 함께 중국산 냉동고추의 국내산 둔갑 유통을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