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지황’ 국산 품종 재배 크게 늘어 글의 상세내용
제목 ‘지황’ 국산 품종 재배 크게 늘어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7-09-26 조회 369
첨부  
출처:농민신문

2014년 0.7㏊ 지난해 73㏊

농진청, 뿌리썩음병에 강한 신품종 보급 성과…수확량도 ↑



뿌리썩음병에 강한 신품종 국산 지황의 보급이 점차 늘고 있다.

지황은 인삼처럼 뿌리를 수확해 말린 다음 환이나 건강음료에 활용하는 약재. 그동안 국

내에선 <지황1호> <고려지황> 등을 재배했지만, 연작하면 뿌리썩음병과 시들음병에 취약

해 농가가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 때문에 한때 외국에서 들여온 종자가 국내에서 재배

되는 지황의 90% 이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최근 농촌진흥청은 뿌리썩음병에 저항성이 높은 <다강> <원강> 등의 지황 신품종을 보급

한 결과 재배비율이 48%까지 높아졌다고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국산 품종의 재배면적

은 2014년 114㏊ 중 0.7㏊에 불과했지만, 2016년엔 전체 재배면적 150㏊ 중 73㏊를

차지했다.

이처럼 국산 신품종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병 저항성이 높은 데다 수확량까지 많아서

다. 실제로 신품종 <다강>은 <지황1호>에 비해 뿌리썩음병 발병률이 3분의 1 수준이다.

수확량도 10a(300평) 기준으로 약 250㎏ 더 많았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에서 재배되는 지황의 50% 이상은 중국 등 외국에서 들여온 종자에 의

존하고 있다. 또 중국산 건지황(말린 지황)의 수입도 해마다 늘고 있어 지황의 안정적인

생산기반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2014년 903t이던 중국산 건지황의 수입량은 2016년 1362t까

지 늘었다. 2016년 국내 지황 생산량은 1337t이다.

장재기 농진청 약용작물과장은 “상당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한약재의 국산화를 위해

병에 강하고 수확량도 많은 품종을 개발·보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10월31일까지 지황 신품종 <다강> 종자를 유상으로 분양한

다. 분양을 원하는 농가는 재단 바이오자원팀(☎063-919-1643)에 신청하면 된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