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가·주민·지자체 ‘협업’이 성공열쇠…“지역에 활력 불어넣어”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가·주민·지자체 ‘협업’이 성공열쇠…“지역에 활력 불어넣어”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7-10-23 조회 299
첨부 jpg 파일명 : 6차산업활성화.jpg 6차산업활성화.jpg  [0.52 mbyte] 바로가기
?atchFileId=FILE_000000000125309&fileSn=0 6차산업활성화.jpg
출처:농민신문

18일 ‘2017년 6차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에 참가한 6차산업 인증업체들의 가공상품이 농촌진흥청 오디토리움에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한 소비자가 들깨비누의 향을 맡아보고 있다.

농식품부 ‘6차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가보니

지역심사 거친 10개팀 심사위원·국민패널이 평가 공개오디션 방식으로 진행

‘자연드림파크’ 대상 수상 지역 농축산물로 과자 등

100억원어치 생산 ‘성과’ 체험공간 수익 지역에 환원

정부 “성공사례 발굴·공유… 기술 컨설팅 등 지원 최선”




“의식주분야에 각각 강점을 가진 3농가가 체험프로그램을 협업운영해 방문객이 88% 늘었습니다.”(이명한 한복)

“비상품 감귤로 과줄(한과)을 만들어 농가소득을 높이고 연인원 4500명의 고용효과를 창출했습니다.”(신효생활개선회)

18일 농림축산식품부가 개최한 ‘6차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농업과 가공·서비스를 연계시킨 6차산업화의 경험이 다양하게 제시됐다.

이인향 에버그린에버블루협동조합 대표는 “경기 양평에 귀촌한 뒤 들깨의 시장성과 잠재력에 주목해 생들기름 상품화에 나섰다”며 “원료인 들깨는 지역농가에게서 전량 공급받고 매출의 78%를 지역에 환원했다”고 말했다. 들깨를 볶지 않고 짜낸 생들기름이 홈쇼핑·로컬푸드직매장 등에서 큰 인기를 얻으면서 원료공급 참여농가가 2014년 11가구에서 2017년 200가구로 늘어날 정도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박성자 마이산현미발효밥 대표는 2005년 시아버지의 당뇨가 심화되자 발효현미에 관심을 갖게 됐다. 이후 2년간 현미의 식감과 기능성을 높이는 비결을 연구했다. 덕분에 영유아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소비자가 먹을 수 있는 발효혼합잡곡 상품군을 개발할 수 있었다.

미국·중국에까지 수출되는 이들 제품의 원료곡은 대부분 전북 진안에서 조달한다. 박 대표는 “앞으로 발효밥집 프랜차이즈사업에 도전할 생각”이라고 밝혀 호응을 얻었다.

전남 구례의 자연드림파크 사례도 주목받았다. 자연드림파크는 2011년 구례군과 아이쿱생협이 협약을 체결해 조성한 친환경식품 단지다.

민간투자 720억원을 포함해 800억원이 투입된 이 단지엔 지역의 친환경 농축산물로 밀가루·과자·유정란 등을 생산하는 공방이 17개 있다. 체험공간까지 운영하는 이 단지는 운영수익을 지역에 환원해 주민들이 문화·의료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했다.

민경진 구례클러스터 대표는 “지역의 친환경농산물 생산액이 2011년 9억여원에서 2017년 100억원까지 증가했다”며 “체험객 방문이 늘어 다양한 일자리가 생기는 등 지역에 활기가 돌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촌진흥청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대회는 지역심사를 거쳐 본선에 진출한 10개 참가팀을 심사위원·국민패널이 평가하는 공개오디션 방식으로 진행됐다.

대상은 자연드림파크의 몫이었다. 심사위원을 맡은 임성채 (사)한국에서가장아름다운마을연합 사무총장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 속에 지역의 다양한 6차산업 사업자들이 협력해 성과를 내고 있는 자연드림파크 사례는 지역의 6차산업 추진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모델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안호근 농식품부 차관보는 “농업을 6차산업으로 발전시킨 사례를 발굴·공유해 벤치마킹의 기회를 제공하고 성과 확산을 유도하고 있다”며 “정부는 필요한 융자, 디자인·기술 컨설팅, 초기 판매지원, 규제 개선 등의 지원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홍경진 기자 hongkj@nongmin.com


◇ ‘2017년 6차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수상자

▲대상=자연드림파크(전남 구례) ▲최우수상=에버그린에버블루협동조합(경기 양평), 마이산현미발효밥(전북 진안) ▲우수상=이명한 한복(충남 논산), 송시마을㈜(전남 여수), 장단콩청정식품(경기 파주) ▲장려상=신효생활개선회(제주 서귀포), 범산목장(강원 횡성), 우리영농조합법인(전북 군산), 정남농협 웰빙떡클러스터사업단(경기 화성)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