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겨울철 돼지유행성설사병·생식기호흡기증후군 주의보 글의 상세내용
제목 겨울철 돼지유행성설사병·생식기호흡기증후군 주의보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7-11-20 조회 275
첨부 jpg 파일명 : 20일방역.jpg 20일방역.jpg  [0.717 mbyte] 바로가기
?atchFileId=FILE_000000000125669&fileSn=0 20일방역.jpg
출처:농민신문

감염 땐 발열·구토 증세…새끼돼지엔 ‘치명적’

새끼돼지, 감염되면 대부분 폐사·임신한 돼지는 사산 유발

PED, 분변 통해 바이러스 전파…겨울철에 집중 발생

올핸 폭염으로 면역력 ↓…방역·백신 접종으로 예방 힘써야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돼지유행성설사병과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질병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철저한 차단방역과 적절한 백신접종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돼지에 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모습.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돼지유행성설사병(PED)과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최근 PED 발생주의보를 발령하고 농가들의 철저한 방역을 당부했다.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농장에 분변이 오랫동안 쌓이는 경우가 많아 PED 발생 확률을 높이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PED와 함께 돼지 생산성에 치명타를 안기는 PRRS 역시 겨울철에 주의가 필요한 질병으로 꼽힌다. 질병 발생 원인과 함께 대책은 무엇인지 짚어봤다. 



◆ 원인과 증상=바이러스 질병인 PED는 감염 돼지가 배설한 분변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된다. 주로 겨울철에 유행한다. 겨울이 되면 적지 않은 농가들이 분변을 제때 치우지 않고 농장에 오랜기간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돼지가 분변에 접촉할 가능성이 커지고 PED 전파는 활발해진다.

PED에 걸린 돼지는 설사와 구토 증세를 보인다. 새끼돼지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태어난 지 1주일이 안된 젖먹이 새끼돼지들이 이 질병에 걸리면 3~4일 넘게 설사를 지속하다 탈수증상으로 대부분 폐사한다.

PRRS 역시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감염된 돼지의 입과 코에서 나오는 분비물과 돼지가 배설하는 분변을 통해 직접 전파되고, 물·사료·공기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전파된다. 어미돼지를 통해 새끼돼지에게 전파되기도 한다. 기온이 떨어질수록 바이러스가 더 활발하게 활동해 겨울철이 되면 공기를 통한 전파 가능성이 높아진다.

PRRS 바이러스는 크게 유럽형과 북미형 두가지 유형이 있다. 감염 증상은 바이러스 종류와 돼지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체온이 40℃ 이상까지 올라가는 발열과 식욕부진·호흡곤란 증상을 보인다. PRRS에 감염된 돼지는 면역력이 떨어져 다른 질병에 쉽게 걸리고, 새끼를 임신한 어미돼지는 사산하거나 유산하게 된다.



◆ 발병 현황=국내에서 PED는 최근 몇년 사이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다. 검역본부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한해 평균 15건이던 PED 발생건수가 2014년 193건으로 급증한 뒤 매년 80건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서는 10월까지 78건이 발생했다. 월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4055마리 가운데 80% 가까운 3326마리가 1월에서 4월 사이인 겨울철과 환절기에 집중됐다.

PRRS는 2017년 1~10월까지 18건이 발생해 104마리가 감염됐다. 이는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에 등록된 수치로, 전문가들은 이외에도 상당수 돼지가 PRRS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차상호 농림축산검역본부 수의연구관은 “PRRS가 돼지의 면역력을 떨어뜨려 다른 질병을 발생시키다보니 PRRS에 감염된 돼지임에도 다른 질병 감염만 보고되고 있다”며 “실제로는 상당수 양돈농장에 PRRS 바이러스가 퍼진 상태”라고 말했다.

채찬희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올해는 폭염으로 돼지들의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라 PED와 PRRS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 피해가 클 수 있다”며 “농가들이 방역과 백신접종을 철저히 해 질병 예방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