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무허가축사 적법화 유예기간 연장, 후속 조치를 글의 상세내용
제목 무허가축사 적법화 유예기간 연장, 후속 조치를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8-03-09 조회 251
첨부  
출처:농민신문


무허가축사 적법화 유예기간 연장에 따른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마련돼 실질적인 적법화

가 이뤄지게 해야 한다. 가축분뇨법 개정안이 최근 국회를 통과하면서 무허가축사 적법

화 유예기간이 ‘최대 18개월+알파(a)’로 확정됐다. 정부안보다 3개월이 늘었다. 정부는

이를 토대로 유예기간을 농가별 사정에 맞게 연장해주기로 했다. 연장을 바라는 농가는

이달 24일까지 허가신청서를, 6개월 후인 9월24일까지 ‘적법화 이행계획서’를 각각 제출

하게 돼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이행계획서를 평가해 농가별로 적법화에 필요한 이행기간

을 9월25일부터 최대 1년까지 부여하게 된다.


그러나 실질적인 후속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무허가축사 적법화는 어렵다는 목소리가

그치지 않고 있다. 제도 개선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적법화가 좌우된다는 얘기다. 정부

는 ‘선(先)대책, 후(後)규제’라는 원칙 아래 ‘무허가축사 적법화 이행기간 운영지침’을

추진해달라는 농가들의 요구를 흘려들어서는 안된다. 무허가축사를 법에 맞게 개선하지 못

한 농가 대부분은 현행 법률과 제도로는 여전히 적법화하기가 어렵다. 제도 개선 등으로

현장 요구가 반영된 적법화 기준을 이른 시일 내에 마련해야 한다. 그 이후에 농가들이

적법화 이행계획서를 내도록 하는 게 순리다.


우선 적법화하려는 농가가 내야 하는 법적 양식인 ‘허가신청서’를 법적 구속력이 없

는 ‘의향서’로 대체하는 방안을 신속하게 검토해야 한다. 이를 통해 허가신청서를 제출하

고 불가 판정을 받으면 곧바로 행정처분 대상이 될 것이라는 농가들의 우려를 씻어내야

한다. 이는 적법화하려는 농가의 역차별 가능성을 차단해 적법화 추진에도 효과적일 것이

다. 이행계획서 조건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적법화 불가 판정을 받더라도 6개월의 보완

기간을 한번 더 주고 나서 허가신청서를 반려해달라는 주문이다. 제출 서류도 적법화와

관련 없는 서류는 제외해 간소화해야 한다. 입지제한구역 내의 축사를 지정 전부터 운영

한 경우엔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제방안을 마련하는 일도 빼놓을 수 없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