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 도전하려는 청년들의 열기가 뜨겁다. 올초 약 3대1의 경쟁률을 보인 청년창업농 영농정착 지원사업에 이어, 정부가 올해 처음으로 시범운영하는 스마트팜 교육 대상자 선발에도 정원의 5배수가 넘는 청년들이 몰렸다. 이에 따라 청년농을 지원하는 프로그램과 예산을 보다 더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청년창업 장기 보육프로그램’에 참가할 제1기 교육생 60명을 선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스마트팜 창업을 원하는 만 18세 이상 40세 미만 청년을 대상으로 모집한 결과 모두 301명이 지원해 5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정부의 이번 스마트팜 교육은 미래농업으로 주목받는 스마트팜의 전문인력 부족을 해소하고자 마련됐다. 영농 지식과 기반이 없는 청년도 스마트팜에 취업·창업할 수 있도록 작물 재배기술, 스마트팜 기기 운용, 온실 관리, 경영·마케팅 등 모든 과정을 기초부터 실습까지 최장 1년8개월 동안 교육한다. 이번에 선발된 60명은 권역별 보육센터 3곳(전북농식품인력개발원, 전남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경남도농업기술원)에서 4월부터 교육을 받게 된다. 교육비는 전액 무료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엔 기존에 농업을 전공하지 않은 신규 진입자가 많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전체 신청인원의 31%는 농업을 전공했지만 나머지 69%는 비농업계 전공자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원자 가운데 상당수는 정보기술(IT)이나 기계 등을 전공하고 농업에 새롭게 뛰어든 사람들”이라며 “그동안 스마트팜에 관심이 있었지만 농사를 잘 모르거나 자금이 부족해 선뜻 진입하지 못했던 많은 청년들이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농업에 도전하려는 청년들이 많은 만큼 정부의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 스마트팜 교육프로그램뿐 아니라 올초 1200명을 모집한 청년창업농 영농정착 지원사업에도 정원의 3배수에 달하는 3326명이나 몰렸기 때문이다. 이때도 도시에서 귀농했거나 귀농 예정인 청년(71.4%)과 비농업계 졸업생(72.9%)이 신청인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농업계 관계자는 “청년들이 농촌에 정착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교육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정부는 이같은 지원프로그램과 예산을 확대해 더 많은 청년들이 농업·농촌에 도전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