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농정 컨트롤타워 실종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8-03-30 | 조회 | 237 |
첨부 | |||||
출처: 농민신문 6·13 지방선거 출마 위해 주요 인사들 줄줄이 사퇴 현안 적기 대응 차질 우려 “신임 장관 지명 서둘러야”
줄줄이 사퇴하면서 농정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공백 사태 가 장기화할 경우 문재인정부의 농정개혁 의지가 꺾일 것이란 우려도 제기한다. 광장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농업 적폐청산과 농정개혁을 촉구했다. 이들은 “농 정을 진두지휘할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청와대 농어업비서관 등 핵심 관료들이 입 신양명의 길로 나섰다”며 “이 때문에 적폐청산과 농정개혁을 목표로 설치된 농정개 혁위원회가 헌신짝처럼 내팽개쳐졌다”고 주장했다. 행덕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은 “김영록 전 농식품부 장관이 내걸었던 올해 단경기 쌀값 목표치는 17만5000원(이하 80㎏ 기준)”이라며 “쌀값이 아직 회복 중인 상황에 서 정부는 장관이 없는 틈을 타 공공비축미 방출을 결정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 전 장관은 2월 임시국회에 출석, “공공비축용 산물벼 방출계획이 있느냐”는 질의에 “사실무근”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정부는 장관 사퇴를 기다렸다는 듯이 이달 26일 산물벼 방출계획을 내놨다. 장관 지명을 서둘러달라고 청와대에 요구했다. 한농연은 성명에서 “한·미 자유무역 협정(FTA) 대응, 쌀 목표가격 재설정 같은 농정현안이 켜켜이 쌓여 있지만, 농정 컨 트롤타워의 실종 사태로 (현안에 대한) 적기 대응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한 농연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대한 미국의 지역화 요구 수용이 농정수장 의 공백기에 이뤄졌다는 점은 충격”이라며 “자칫 이번 조치가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과 같은 위험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장관 직무대행을 맡은 차관은 국무회의 의결권이 없어 부처간 협의나 정책 수행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김지식 한농연 회장은 “식품안전관리 업무를 둘러싼 농식 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힘겨루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농정 컨트롤타워 실종이 란 참사가 빚어졌다”며 “자칫 농식품부의 위상과 역할이 약해지지 않을까 걱정”이 라고 말했다. 을 내고 농정공백 사태의 조기 해결을 촉구했다. 이승호 농축산연합회 상임대표는 “식량자급률 목표치 하향 조정,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의 저조한 모금실적은 불통 농 정의 대표적인 사례”라며 “불통과 불신을 해소할 장관 인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 다.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