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고작 ‘1%’…추경에 농업은 없다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8-04-06 | 조회 | 324 |
첨부 | |||||
출처:농민신문 농업예산 비중 고작 ‘1%’ 그나마도 대부분 융자금 도시지역 일자리에 초점 “사실상 ‘농업 패싱’” 지적 농정수장 공백 사 태 영향도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농업계는 정부가 추경에서도 농업 을 외면하고 있다며 ‘농업 패싱’ 문제를 제기할 태세다. 재정정책자문회의에서 “청년 일자리 확대와 실직자 생계·재교육 지원 을 위해 추경을 편성하겠다”면서 “그 규모는 4조원 내외가 될 것”이라 고 밝혔다. 상대적으로 홀대를 받고 있다는 게 농업계의 지적이다. 농림축산식품 부가 국회에 보고한 ‘2018년도 제1호 추경예산안’에 따르면 추경에 반 영된 농업분야 사업은 사실상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 하나다. 청년농민의 원활한 영농정착을 돕기 위해 매달 100만원가량을 지원하 는 사업이다. 애초 1200명을 선발하려던 계획을 1600명으로 확대하는 과정에서 15억5000만원이 늘었다. 농식품부 측은 “1200명을 선발하 는 사업에 3300여명이 지원할 정도로 수요가 높아 지원 대상을 늘리기 로 했다”고 설명했다. 비용(4억8000만원),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자금 이차보전금(4억5500만 원), 그리고 이들의 농지구입을 돕는 맞춤형 농지 지원사업(400억원) 이다. 예산은 14조4996억원에서 14조5421억원으로 425억원(추경) 늘어난 다. 전체 추경 규모의 1% 수준이다. 그나마 425억원의 대부분을 차지 하는 맞춤형 농지 지원사업 예산 400억원은 보조금이 아니라 정부가 농가에 저리로 빌려줬다 되돌려받는 융자금이다. 자유한국당 관계자는 “시중금리와 정책자금 금리 차이를 2.5%로 봤을 때 맞춤형 농지 지원 사업 예산 400억원의 실질 농가 지원효과는 10억원(400억원×0.025) 정도”라며 “농업분야는 ‘추경’이라고 부르기가 민망하다”고 지적했다. 추경까지 농업분야가 철저히 소외되면서 농업계 내에선 “예산만큼은 역대 정부와 달라진 게 없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원 대상인) 중소기업에 취직한 청년이나 조선·자동차 산업에서 실직한 도시근로자 못지않게 열악한 조건에서 농사짓는 청년,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농민이 부지기수”라며 “농정수장 공백 사태가 추경의 ‘농업 패싱’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