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서 농업 예능인 ‘농사직방’을 방송하는 시골청년 3인방. 왼쪽부터 서종효·유경호·강영수씨.
농업방송 ‘농사직방’ 찍는 강영수·서종효·유경호씨
‘뇌쇄적인 농기구 리뷰’ 등 웃음 초점 맞춘 1인방송으로 유튜브 구독자 1000여명 확보
농가 찾아 농산물 홍보해주는 ‘열여섯시 내고향’ 코너 운영도
농촌 이야기가 <6시 내고향>에만 있는 건 아니다.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인터넷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농촌을 소개하는 콘텐츠들이 올라와 눈길을 끈다. 유튜브방송 <농사직방>과 웹툰 <도시소녀 귀농기>가 그것이다. 방송과 만화를 통해 농업·농촌을 알리는 이는 다름 아닌 시골청년들이다.
‘먹방(먹는 방송)’ ‘쿡방(요리하는 방송)’이 대세를 이루는 인터넷방송가에 농사하는 방송 ‘농방’으로 도전장을 내민 이들이 있다. 대구 수성구에서 ‘희망토농장’을 운영하는 강영수(40)·서종효(32)·유경호씨(28)다.
혹자는 시골이나 고된 노동 등 농사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때문에 농방이 지루할 것이라고 짐작한다. 그렇지만 이들의 농방인 <농사직방>은 그런 예상을 과감히 깨부순다. 조선시대 농서인 <농사직설(農事直說)>에서 이름을 따온 <농사직방>은 웃음을 전제로 농업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3분 농법’과 ‘뇌쇄적인 농기구 리뷰’ 코너가 그것이다.
먼저 ‘3분 농법’에선 종효씨가 흰강낭콩 모종 만들기, 오이 그물망 치기 등의 농사일을 3분 이내에 끝내는 것을 목표로 도전한다. 그러다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종효씨의 얼굴은 모자이크로 가려지고 목소리만 나온다. ‘뇌쇄적인 농기구 리뷰’는 정보보다 웃음에 초점을 맞췄다. 끈적한 분위기의 배경음악에 경호씨가 춤을 추듯 흐느적거리며 옥수수탈립기나 호미 같은 농기구를 직접 써본 뒤 그 기능을 소개한다.
유머와 함께 상생의 가치를 담은 코너도 있다. 마케팅 역량이 부족한 농가를 찾아가 그들의 농산물을 홍보하는 ‘열여섯시 내고향’이다. 전국 각지의 농가를 방문해 그들이 생산한 농산물을 맛보고 평가한 뒤 구매방법을 일러주는 식이다.
이처럼 농업 예능을 지향하는 <농사직방>을 처음 시작한 때는 2017년 2월로 경호씨가 희망토농장에 합류하면서부터였다.
“도시민들이 농업에 관심을 두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들에게 농업을 알리면서도 흥미를 유발할 게 뭐가 있을까 생각하다가 인터넷 1인방송을 기획하게 됐습니다.”
‘농사직방’ 방송 장면들.
그렇게 세사람은 첫 방송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100여편을 방영했다. 방송 초기 한두명에 머물던 구독자수가 이제는 1000여명에 이른다. 기대만큼 숫자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아니지만, 애청자의 댓글을 볼 때마다 방송에 대한 자부심과 보람을 느낀단다.
“‘재미있다’거나 ‘방송을 보고 농사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는 네티즌의 댓글을 볼 때 가장 행복합니다.”
이같은 세사람의 방송에 대한 애정은 그들의 ‘농업 사랑’에서 비롯됐다. 일주일에 두세번 방송 촬영 때 말고는 여느 농부들과 다름없이 논밭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시에서 저렴하게 임대한 2만㎡(6000여평) 규모의 농장에서 아로니아·쪽파 등 50여가지의 농작물을 키우고 있다. 목적은 판매가 아닌 체험·교육용이다. 인근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촌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는가 하면 도시민에게 주말농장을 분양하고 농사에 필요한 교육도 진행한다. 방송 담당이 경호씨라면 체험과 교육은 영수·종효씨가 맡는다. 농장 문을 연 지 7년째. 이들의 목표는 희망토농장을 확장해 농촌 체험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언젠가는 마을 규모에 가까운 체험농장을 만들 겁니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지만 수확을 기다리는 농부의 마음으로 인내심을 갖고 차근차근 해나갈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