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가소득 높일 ‘지역맞춤 농정’ 펼쳐달라”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가소득 높일 ‘지역맞춤 농정’ 펼쳐달라”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8-06-15 조회 175
첨부  

출처:농민신문





농업계, 6·13 지방선거 당선자에게 ‘한목소리’ 주문


농산물 최저가격보장제 등 현실적 소득안정망 마련


지역별 ‘특색사업’ 발굴…후계인력 확보에도 관심을






“농협과 농민들은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뒷받침해준다면 목표 달성 시기가 앞당겨질 것입니다.” (박창수 경기 포천농협 조합장)



“농산물 가격등락에 따른 농가경영 불안을 해소하려면 ‘농산물 최저가격보장제’를 도입해야 합니다. 노동자에게 최저임금을 보장해주듯이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농민에게도 기본소득을 보장해줘야 합니다.” (신동진 경남풋고추주산지협의회장)



전국의 농업계 인사들은 민선 7기 지방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로 ‘농가소득 보장’을 꼽았다. 농가들이 농산물 가격하락으로 어려움을 겪는 만큼 지방정부가 실효성 있는 소득안정 장치를 마련해달라는 주문이다.



이용기 영남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우리 농업·농촌을 살리려면 무엇보다 농가소득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다양한 지역특색사업을 발굴하고, 지역실정에 맞는 소득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명임 농가주부모임 전북 무주군연합회장은 “농민들이 땀 흘린 만큼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지방정부가 농산물 유통체계 정비, 최저가격보장제 마련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성영근 경북 영천농협 조합장은 “요즘 농민들의 고민은 마땅한 소득작목이 없다는 것, 그리고 기존 작목의 판로가 부족하다는 것”이라며 “새 도지사는 경북 사정에 맞는 틈새 소득작목 개발과 다양한 판로개척에 나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농업 후계인력 확보에 지방정부가 관심을 기울여달라는 주문도 많았다. 김갑성 충북 영동농협 조합장은 “농촌 고령화 문제는 더는 미뤄서는 안될 지역농정의 현안”이라며 “도 차원에서 후계농 육성과 귀농·귀촌 활성화로 농촌에 활기를 불어넣어달라”고 말했다.



이재광 경기도4-H연합회장은 “청년들이 경기지역에서 창농하기에는 토지 임차료가 너무 높다”며 “도가 나서서 이들에게 국·공유지를 저렴하게 빌려주고, 나아가 관련 공무원들이 청년농들과 주기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창구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최명식 한국새농민회 강원도회장은 “귀농·귀촌인 못지않게 농촌에 사는 젊은이들이 소외되거나 낙오되지 않도록 지방정부가 각별히 신경을 써달라”고 당부했다.



지역농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려달라는 요구도 컸다. 양덕만 해금골드키위영농조합법인 대표(전남 보성)는 “전남은 대표적인 농도지만, 2017년 농산물 수출실적은 전국 꼴찌 수준”이라며 “해외 마케팅 역량강화와 수출물류비 지원 확대 등 적극적인 농산물 수출정책을 펴달라”고 요구했다.



이밖에 송관정 제주대 생명자원과학대학장은 농업연구직 공무원 확대를, 정덕교 한국농업경영인 강원도연합회장은 전국 최하위 수준인 도 농업예산 확충을 주문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