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한·중 사드 긴장완화…대중국 농식품 수출 회복세 뚜렷 글의 상세내용
제목 한·중 사드 긴장완화…대중국 농식품 수출 회복세 뚜렷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8-06-22 조회 240
첨부  

출처:농민신문




5월 실적 지난해보다 86.9% ↑


 


2017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파로 얼어붙었던 대중국 농식품 수출실적이 뚜렷한 회복세로 전환됐다.



1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대중국 농식품 수출액은 3억8800만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9% 증가했다. 특히 5월 한달간 실적은 98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86.9% 뛰었다.



대중국 농식품 수출실적은 2017년 4월부터 올 4월까지 계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3월부터 본격적으로 빚어진 중국과의 사드 갈등에 따른 영향이다.



2017년 1~4월 대중국 수출실적은 2016년 같은 기간보다 2.3% 줄었고, 2017년 한해 실적은 2016년보다 10.1% 감소했다. 올들어서는 1~3월까지 -(마이너스) 15.1%를 기록하며 상황이 더욱 악화했다.



그러나 4월 들어 대중국 수출실적이 큰 폭으로 늘면서 올 1~5월 전체 수출액 증감률이 ‘+(플러스)’로 전환됐다.



김민욱 농식품부 수출진흥과장은 “최근 한·중간 긴장이 완화되면서 중국 내 한국 상품의 소비심리가 회복된 것으로 파악된다”며 “조제분유·인삼류·소스류·유자·생우유 등 주요 품목의 수출실적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대중국 수출 증가세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가 내수 활성화 차원에서 7월1일부터 1449개 일용 소비품의 수입 관세를 최혜국 수준으로 내리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식품류는 387개 품목으로, 김치·유자차·간장 등의 수입 관세율이 모두 인하될 예정이다.



다만 위생기준이나 라벨링 등 중국의 농식품 통관·검역 절차는 여전히 까다로운 수준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수시로 바뀌는 중국의 식품 관련정책을 정리한 ‘중국 수출입 절차 매뉴얼’을 제작해 농식품 수출업체에 배포하고, 중국 정부의 정책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