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귀농·귀촌 멘토링] “농기센터 퇴직공무원에게 영농기술 등을 배워요” 글의 상세내용
제목 [귀농·귀촌 멘토링] “농기센터 퇴직공무원에게 영농기술 등을 배워요”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8-08-30 조회 396
첨부  

출처:농민신문





농장주 전상일씨(왼쪽)가 퇴직공무원인 멘토 이남배씨와 함께 수확한 히카마를 들어보이고 있다.




[귀농·귀촌 멘토링 현장을 가다] 경남 합천 히카마농장


4년 전 귀농한 초보 농사꾼 전상일씨 아로니아 첫 도전…수입 변변찮아 고민


군농기센터, 새 소득작물 ‘히카마’ 소개 퇴직공무원이 교육하는 멘토링도 제안


지도직 출신 이남배씨 도움받아 재배 교육·지원사업도 알려줘…정착 성공


 


“히카마(얌빈)를 아세요? ‘멕시코 감자’라고도 불리는데 당뇨에 좋아요.”



경남 합천군 덕곡면의 히카마농장에서 만난 전상일씨(44). 2년 전부터 1652㎡(500평) 시설하우스에서 히카마를 키우는 그는 히카마 홍보대사라 불려도 손색없을 듯 싶었다. 생소해하는 기자에게 손바닥만한 전단지까지 보여주며 효능과 먹는 법을 설명하는 데 열을 올렸다.



전씨는 자신을 농사 배우는 ‘인턴 농부’로 소개했다. 하지만 작물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만큼은 결코 여느 농부에 뒤지지 않았다.



대구에서 온라인 마케팅업체를 운영했던 전씨는 2014년 고향인 합천으로 귀농했다. 양파농사를 짓던 부모가 연로한 탓에 일을 계속하기 어려워진 데다 직장생활에 대한 회의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온라인 업무 특성상 쉬는 시간이 없고 새벽까지 일이 끊이질 않았어요. 결혼하고 두 아들을 키우는데 가족과 함께할 시간도 없었고요. ‘이건 아니다’ 싶어 사업을 접고 고향으로 돌아왔죠.”



전씨가 처음 재배한 작물은 아로니아였다. 재배기술이 까다롭지 않고 노동력이 적게 든다는 이야기를 듣고 부모가 하던 양파 대신 아로니아를 선택했다. 어릴 때부터 농사를 어깨너머로 배운 데다 주변 농가의 도움까지 받아서인지 재배는 크게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가격이 문제였다. 수확 첫해 1㎏에 1만5000원 정도 하던 소매값이 수요가 급감하면서 이듬해에는 8000원까지 떨어졌다.



수입이 변변찮아 생활비를 걱정하던 전씨는 합천군농업기술센터에서 새로운 소득작물로 히카마를 소개받았다. 아열대식물인 히카마가 당뇨에 좋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지만 국내에서는 생산하는 곳이 많지 않았다.



고민하던 전씨에게 농기센터 직원이 ‘퇴직공무원 멘토링’을 제안했다. 선도농가의 농장에서 일하며 기초 영농기술을 배우는 일반 멘토링과 달리, 퇴직공무원 멘토링은 수십년간 영농기술을 연구·지도한 퇴직공무원이 직접 농가를 방문해 교육을 진행한다. 전씨는 38년 동안 농기센터 지도직으로 근무했던 이남배씨(60)의 도움을 받으며 히카마를 재배하기 시작했다. 사실 이씨에게도 히카마는 생소한 작물이었다.



“재배농가가 드물어 참고할 만한 자료가 없었어요. 하지만 감자·고구마와 재배법이 크게 다르지 않아 관련 노하우를 전수했죠. 국내 기온이 예전보다 높아져 재배에 문제가 없었고 단위면적당 수확량도 많아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거 같아요.”



이씨가 영농기술만 전수하는 건 아니다. 공직 경험을 바탕으로 전씨에게 필요한 교육이나 지원사업 정보를 그때그때 알려준다. 전씨는 올초 이씨의 소개로 농업 창업자금 5000만원을 지원받아 비닐하우스 5개 동을 지었다. 전씨는 “이웃에 사는 귀농인은 주택자금 융자신청 시기를 놓쳐 낭패를 당했다”며 “이 선생님 덕분에 지원을 받아 천만다행”이라고 말했다.



전씨는 올가을 열대과일인 노니를 심어볼 생각이다. 시설하우스를 새로 지은 덕분에 이모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씨도 노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함께 작물연구에 나섰다. 늘 받기만 하는 것 같아 죄송한 마음이 앞선다는 전씨. 하지만 이씨는 그런 전씨에게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젊은 농부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 뿌듯하다”며 미소를 건넸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