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농민신문

두 정상, 산림협력 등 여러 경협 의제 합의… 농업협력 시발점 정부, 식량·종자·영농기술 등 농업분야 교류에 관심 기울여야 농민단체 “수행단에 농업계 인사 배제… 다음 회담 땐 꼭 포함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9월 평양공동선언’을 내놓으면서 농업분야를 필두로 남북 경제협력(이하 남북경협)이 재개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두 정상은 평양선언에서 ▲철도 및 도로 연결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사업 정상화 ▲산림을 비롯한 남북 환경협력 등 다양한 경협 의제에 대해 합의했다. 애초 경제문제는 회담 의제에서 빠질 것이란 분석이 많았지만, 두 정상은 경협을 6개 합의사항 중 두번째 자리에 올려놓았다. 이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풀리면 경협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특히 철도 및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연내에 개최할 것이라고 남북이 밝힌 점에 비춰볼 때 경협 재개 작업이 상당히 구체화한 것으로 보인다.
농업계는 역사적인 평양선언이 농업협력의 시발점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내비쳤다. 김병원 농협회장은 “이번 남북 두 정상의 만남이 곧 다가올 평화·번영·통일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산림협력이 농업협력으로 확대돼 남북한 농민들의 소득을 높이는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북경협이 재개되면 정부가 식량·종자·영농기술 등 농업분야 교류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문도 많았다. 이승호 한국농축산연합회 상임대표는 “당장 필요한 것은 북한의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북한의 토지와 남한의 영농기술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 등 상호 교류하고 협력하는 관계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정진 축산관련단체협의회장은 “소·돼지·닭 등 가축과 축산물 지원은 물론 한민족으로서 한우·토종닭 등 우리 종자를 전파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며 “최근 중국 등에서 확산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문제도 남북이 공동으로 대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황주홍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은 인도적 차원의 대북 쌀 지원을 통해 남북관계의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황 위원장은 “북한의 5세 미만 어린이 130만명은 만성영양실조에 빠졌고, 외화 부족으로 식량 수입마저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며 “인도적인 대북 쌀 지원은 남북간 신뢰회복은 물론 경제협력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장기적으로는 남한의 쌀과 북한의 옥수수·콩을 교환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만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 대통령의 수행단에서 농업계 인사가 빠져 아쉽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길, 국민행복농정연대 등은 20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남북정상회담 방북단에서도 ‘농업 패싱’이 재현됐다”며 “범농업계가 줄기차게 ‘농업을 직접 챙기겠다’는 문 대통령의 후보시절 공약을 지키라는 요구를 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아무런 답이 없는 상황”이라고 성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