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천혜의 자연 활용…단양 한드미마을, 독특한 체험프로그램 인기 글의 상세내용
제목 천혜의 자연 활용…단양 한드미마을, 독특한 체험프로그램 인기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8-12-28 조회 250
첨부  

출처:농민신문





아름다운 농촌체험마을로 유명한 충북 단양군 가곡면 한드미마을을 찾은 체험객들이 삼굿구이체험을 하고 있다.




'아름다운 농촌 가꾸기'로 농업가치 높인다


(5부)우수마을 현장을 가다(농협 농촌마을 가꾸기 경진대회 우수상)


충북 단양 한드미마을


계곡 물놀이·삼굿구이체험 등 도시민 유혹할 프로그램 개발 한해 방문객 4만명에 달해

 




‘자연과 조화를 이룬 최고의 예술품’. 충북 단양군 가곡면 한드미마을을 지칭하는 말이다.



한드미마을은 해발 1439m의 소백산 비로봉을 주산으로, 그 아래 평탄한 구름이 펼쳐진 300~350m 지점에 위치해 있다. ‘한드미’는 ‘큰 들’ 또는 ‘큰 골짜기’를 의미한다.



한드미마을은 산과 들, 마을을 휘감는 계곡, 천연동굴이 한데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환경을 잘 살려 성공한 대표적인 농촌체험마을이다. 2005년에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이곳에서 농촌체험을 한 뒤 더욱 유명해졌다.



한드미마을의 농촌체험프로그램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현재 농촌체험 운영과 마을개발사업은 마을주민이 설립한 마을기업인 한드미영농조합법인(대표 정문찬)이 총괄하고 있는데, 한해 찾는 관광객만 4만명에 이른다. 휴가철에는 체험관과 마을펜션은 물론 개인이 운영하는 펜션 등 온 마을 숙박시설이 부족할 정도로 체험객이 몰린다.



숲체험을 비롯해 뗏목을 활용한 계곡 물놀이, 패러글라이딩, 계절별 체험프로그램, 전통방식으로 재현한 다양한 먹거리 제공 등 도시민들에게 오감만족의 기쁨을 채워주고 있기 때문이다.



정영광 영농조합법인 사무장은 “땅을 파서 삼을 묻고 돌로 덮은 뒤 불을 피워 삼을 찌던 방식을 이용해 감자·고구마·달걀 등을 쪄 먹는 삼굿구이체험은 도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20년 전만 하더라도 한드미마을은 30여가구가 단순히 고추·옥수수·잡곡 등의 밭농사를 짓던 전형적인 산촌마을이었다. 그러다가 2000년부터 정부에서 추진한 산촌종합개발사업·정보화마을사업·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마을종합개발사업에 잇따라 선정됐고, 농협의 팜스테이마을사업에 참여하면서 관광마을로 명성을 얻어 오늘에 이르게 됐다.



이때부터 마을주민들이 힘을 모아 생태주차장 조성을 시작으로 마을안길 포장, 상하수도 정비 및 생태하천 조성, 돌담길 꾸미기, 쉼터·테마조형물 설치 등 환경개선사업에 적극 나서며 점차 쾌적하고 아름다운 마을로 바뀌었다. 또 마을회관·전통문화체험관·한방건강관리실·약선식당·마을카페 등 복지와 소득창출을 위한 기반시설까지 들어섰다.



특히 주민들은 전통체험관을 생태적 건축기법으로 리모델링하고 산촌문화관과 방갈로·쉼터 등을 친환경재료로 짓는 등 자연환경을 크게 해치지 않는 선에서 환경을 개선했다. 마을 곳곳에 설치된 화장실도 모두 에너지 사용을 크게 줄인 친환경화장실이다.



이같은 노력 덕분에 한드미마을은 5년 전 독일 쾰른에 본사를 둔 티유브이 라인란드(TUV Rheinland·130년 역사를 가진 글로벌 시험인증기관)로부터 환경파괴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친환경적인 관광사업을 펴는 단체에 수여하는 에코빌리지(Eco-Village)·에코투어리즘(Eco-Tourism) 인증을 받는 쾌거를 이뤄냈다.



한드미마을의 성공에는 초·중등 과정 농촌유학센터의 역할도 컸다. 도시의 젊은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아이들을 붙잡아야 한다’는 아이디어로 농촌유학프로그램을 도입했다. 2006년 출범한 한드미농촌유학센터에선 현재 초·중학생 40여명이 생활하고 있다. 김종홍 마을이장은 “마을에 아이들이 들어온 뒤부터 웃음이 되살아났다”고 설명했다. 실제 농촌유학센터로 인해 마을가구수가 과거 30여가구에서 지금은 50여가구 가까이 될 정도로 마을이 활기를 띠고 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