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농민신문
경기 이어 충북서도 발생 바이러스, 도 경계 넘어 비상 ‘최악의 상황 재연될 수 있다’ 인식 아래 정부·농가 합심 전국 확산 반드시 막아야 소독약 올바른 사용도 중요 농협, 설 연휴 24시간 비상근무
구제역이 도(道) 경계를 넘어 발생함에 따라 ‘전국 확산’이라는 악몽이 되살아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구제역 의사환축으로 신고된 충북 충주시 주덕읍 소재 한우농장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구제역 바이러스가 확인됐다고 1월31일 밝혔다. 1월28일 경기 안성 소재 젖소농장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지 3일 만에 구제역 바이러스가 다른 도로 확산된 것이다.
이에 따라 최악의 구제역 사태를 겪었던 2010~2011년 상황이 재연될 수 있다는 인식 아래 정부와 농가 모두 방역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0년 11월29일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해를 넘겨 2011년 4월 중순까지 전국 11개 시·도, 75개 시·군, 6241농가를 휩쓸며 축산농가는 물론 일반 국민에게까지 깊은 상처와 후유증을 남겼다.
당시 구제역 창궐로 소 15만1000마리, 돼지 331만8000마리, 염소 8000마리, 사슴 3000마리 등 가축 348만여마리가 살처분됐다. 방역에 연인원 200만명을 동원하고, 살처분 보상비 1조8000억원 등 3조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고서야 간신히 구제역을 잡을 수 있었다.
가축방역과 관련해 최근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감안하면 이런 상황이 재연되지 말란 법이 없다는 분석이다. 우선 돼지의 항체형성률이 떨어졌다는 점이다. 지난해 5월 86.6%였던 돼지의 항체형성률은 8월 74.8%로 주저앉았다. 다만 최근에는 80%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항체형성률이 떨어지면 그만큼 구제역이 발생하기 쉽다. 게다가 백신접종 미흡 농가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소독약도 문제다. 국내 축산 관련 방역시설의 소독약 사용실태를 조사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277곳 가운데 허가가 취소된 제품이나 부적합한 소독약을 사용한 곳이 33곳(12%)이나 됐다. 적합한 소독약을 사용했더라도 권장 희석배수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곳 또한 적지 않았다.
가축방역관도 턱없이 부족하다.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충남 천안을)이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가축방역관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전국의 가축방역관은 1335명이다. 가축전염병예방법에서 권고하고 있는 적정 인원 1824명보다 489명(27%)이나 적다.
정부가 특별방역대책을 수시로 세우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꾸준히 나온다. 한 방역전문가는 “지방자치단체와 농가 단위에서 긴급행동지침(SOP)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철저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그 결과에 따라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강화해 방역대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태식 대한한돈협회장은 “아직(2월1일 기준) 돼지농장에서는 구제역이 발생하진 않았지만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방역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올바른 방법으로 축사를 소독하고 농가 모임도 당분간 자제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
한편 농협은 설 명절기간 동안 24시간 비상근무를 실시했다. 허식 농협부회장과 중앙본부 사업부문별 임원, 각 지역본부장, 시·군지부장들은 근무지에서 상주하며 방역상황을 진두지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