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농민신문
농경연 ‘여성농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 모든 연령층서 부정적 평가 세대별 특성·수요 반영 미흡 남녀 구분 없는 임대 허다 남성실적 더 많은 지역도 각 수요층별 정책 세우고 농기센터 교육도 개선해야
대다수 여성농민은 여성친화형 농기계사업의 정책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세대별 수요를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에서 모든 세대가 현행 여성친화형 농기계사업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농경연은 여성농민의 구체적인 정책수요를 파악하고자 청년여성농민(26~45세)·중년여성농민(46~65세)·고령여성농민(66세 이상) 등 세대별로 나눠 면접조사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여성친화형 농기계사업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세대별로 달랐다. 청년여성농민들은 현재의 여성친화형 농기계는 기존의 농기계를 축소한 것일 뿐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력수가 낮고 크기가 작은 여성친화형 농기계보다는 오히려 일반 농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는 여성농민도 적지 않았다. 농경연은 이들 세대가 기계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덜한 만큼 농기계 사용법에 대한 내실 있는 교육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중년여성농민들은 농사일뿐 아니라 집안일까지 도맡아 하는 세대로, 노동부담 경감이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들은 ‘기계는 남성이 사용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강해 여성친화형 농기계사업보다는 마을공동급식 확대 등 집안일을 덜어주는 정책을 더 선호했다. 농경연은 농기계 사용에 대한 중년여성농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농기계 교육참여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고령여성농민들은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농작업 대행사업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진단했다.
이처럼 여성농민들의 평가가 부정적인 것은 여성친화형 농기계 임대실적만 봐도 알 수 있다.
농경연에 따르면 여성친화형 농기계라는 구분이 무색할 정도로 남녀 구분 없이 임대하는 사례가 허다하고, 심지어 일부 지역에선 남성농민의 이용실적이 더 많았다. 남편이 부인의 이름으로 빌리는 경우까지 고려하면 여성농민의 이용실적은 더 낮을 것이라는 게 현장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엄진영 농경연 부연구위원은 “여성친화형 농기계를 사용할 수 있는 잠재 수요층을 구분하고, 각 수요층에 맞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여성친화형 농기계를 빌려주는 농업기술센터의 임대사업과 교육과정 역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