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농민신문
산림 525㏊·주택 235채 등 소실 정부, 피해복구 지원 적극 나서야
4일 강원 고성ㆍ속초·강릉·인제 일원에 대형 산불이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525㏊의 산림과 주택 235채가 불에 탄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 비닐하우스 소실 등 농업시설 피해액도 속초에서만 5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정부는 5일 산불 피해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특별교부세 40억원 등을 긴급지원해 복구에 나서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로 ‘특별재난지역’ 선포 여부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신속히 복구작업에 나서는 한편 이재민들의 실질적인 피해지원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정부가 이재민들에게 주거비·구호비 등을 지원하고 있지만 실제 피해를 복구하기에는 터무니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주거비의 경우 주택 전파는 1300만원, 반파는 650만원에 불과하다. 2017년 포항 지진 이후 상향된 게 이렇다. 구호비도 전파는 1인당 총 48만원(하루 8000원씩 60일), 반파는 24만원에 그친다.
건강은 물론 당장의 생계도 문제다. 이번에 산불이 난 곳은 주택과 인접한 곳이 많아 재로 인한 호흡기 건강이 우려된다. 산에서 송이를 채취하거나 장뇌삼 등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수년 동안 소득원이 사라지게 됐다.
이재민들은 “우리는 아무런 잘못도 없이 하루아침에 생계 터전을 잃게 됐는데, 정부 지원은 쥐꼬리만 하다”며 “사회적 재난은 민간의 성금에만 의존하지 말고 국가가 직접 돌보고 지원 수준도 현실에 맞게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민들의 산불에 대한 경각심도 요구된다. 이번 산불은 논외로 치고라도 대부분의 산불이 사람의 부주의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제 2008년 이후 10년 동안 산불은 입산자 실화(37%), 논·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31%)으로 인한 것이 전체의 68%를 차지했다. 특히 연중 4월에 대형 산불이 많이 발생해 앞으로도 각별히 주의를 해야 한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10년(2008~2017년)간 산불은 연평균 421건이 발생했는데 이중 4월에 전체의 약 4분의 1인 95건이 발생했다. 3월(112건, 176㏊)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데, 규모면에서는 4월이 206㏊로 가장 크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은 산불피해를 두고 하는 말인 것 같다. 일단 산불이 나면 엄청난 복구비용은 물론 생태계 회복에 수십년이 걸리는 등 후유증이 너무 크다. 자나 깨나 불조심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