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제주 덮친 열대거세미나방, 조기 예찰·방제로 확산 막아야 글의 상세내용
제목 제주 덮친 열대거세미나방, 조기 예찰·방제로 확산 막아야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9-06-26 조회 178
첨부  

출처-농민신문






열대거세미나방 애벌레가 갉아먹은 제주지역의 어린 옥수수. 사진제공=농촌진흥청



현재 추가 발견은 없지만 전남·경남에 유입 가능성


7월 중하순 번식기 거치면 충청지역도 피해 볼 수 있어


애벌레 어릴수록 약제효과 커 농진청, 빠른 신고·방제 당부






벼·옥수수·수수 등 80여종의 작물에 피해를 주는 열대거세미나방(폴아미웜·Fall Armyworm)이 최근 중국을 거쳐 국내에 상륙(본지 24일자 16면 보도)해 큰 피해가 우려된다.



열대거세미나방의 성충은 하룻밤에 100㎞를 이동하고 한 생애에 알을 1000개씩 낳을 정도로 확산속도가 빠르다. 특히 이번에 유입된 열대거세미나방은 7월 중하순 번식기를 거치면 개체수가 더 빠르게 늘 수 있다. 조기 예찰과 방제의 중요성이 커진 이유다.



24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열대거세미나방은 20일 무렵 제주지역 옥수수밭 4곳에서 발생한 이후 아직 추가 발생은 없다. 하지만 농진청은 기존에 중국에서 날아왔던 다른 해충의 경로를 토대로 추정할 때 열대거세미나방이 전남·경남 지역에도 유입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애벌레(유충)가 벼·옥수수 등의 잎과 열매를 마구잡이로 갉아먹는다. 국내에선 모두 옥수수 어린잎(10엽기 미만)에 피해를 줬다.



열대거세미나방에 대한 우려가 큰 건 확산속도 때문이다. 열대거세미나방은 애벌레 단계에서 약 17일(주요 피해시기), 번데기로 약 10일, 성충으로 약 13일을 생존한다. 일생 동안 2000~4000㎞를 날아갈 수 있는 성충은 2016년 아프리카 40여국에서 발생한 후 지난해 인도·동남아시아를 거쳐 올해 1월 중국 윈난성에 들어왔다. 그리고 중국 내부에서 남북으로 빠르게 확산해 현재 18개 성에서 발생했고, 마침내 우리나라에도 상륙한 것이다. 겨울철 기온이 영하 10℃ 아래로 내려가는 지역에선 월동을 못하지만, 해마다 중국에서 날아와 피해를 줄 가능성이 크다.



이종호 농진청 재해대응과 연구관은 “국내에 유입된 애벌레 1세대가 성충이 돼 번식하면 7~8월 충청지역까지 피해를 줄 것으로 우려된다”며 “특히 서해안지역은 국내에서 발생한 열대거세미나방과 중국에서 날아온 개체들이 겹쳐 피해가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농진청은 농가가 열대거세미나방 애벌레를 빨리 발견해 신고·방제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애벌레가 어릴수록 약제의 효과가 더 높아서다. 현재 국내엔 옥수수·벼·수수·콩·조·배추 등 26개 작물에 약제가 등록돼 있다.



옥수수에 열대거세미나방이 발생했다면 ‘인독사카브’ ‘델타메트린’ ‘플루벤디아마이드’ 등의 성분이 든 약제를 잎·줄기 구석구석에 뿌려줘야 한다. 약제를 1회 뿌려도 해충이 발생한다면 일주일 후에 한번 더 방제한다. 열대거세미나방은 야행성이므로 새벽이나 오후 5~6시께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가 높다. 농진청 농사로 홈페이지(www.nongsaro.go.kr) 병충해 방제정보 서비스에서 ‘열대거세미나방’을 입력하면 등록약제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관은 “옥수수의 경우 10엽기 미만의 어린잎을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한다”며 “해충을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 지역 시·군 농업기술센터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