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산어촌 드론 배송기반 구축 ‘드론배달점’ 시범운영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산어촌 드론 배송기반 구축 ‘드론배달점’ 시범운영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9-08-06 조회 221
첨부  

출처-농민신문




행안부·우정사업본부 등 협약 ‘드론배달점’ 시범운영 계획


4년 내 ‘관제기지’ 10곳 설립


우편·택배 배달시간 줄고 구호물품 전달 편리해질 듯






배송인프라가 열악한 농산어촌에 드론 배송을 위한 기반이 구축된다.



행정안전부는 우정사업본부·충남도·전남도·한국전자통신연구원·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함께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최근 밝혔다.



배송인프라가 잘 갖춰지지 않아 우편배달에 많은 시간·비용이 소요되는 농산어촌에 ‘드론배달점’을 설치한다는 게 골자다. 드론배달점은 드론이 물건을 실제로 배송하는 지점을 말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드론이 집까지 물건을 배송하다보면 대문에 부딪히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배송지에서 가까운 평지에 드론배달점을 설치하고, 드론이 배달점을 스스로 검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드론은 농약 살포나 촬영에 주로 쓰이지만 기술 개발속도를 고려하면 2022년에는 배송에도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에 앞서 미리 배달점을 구축하고 시범운영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협약에 따라 행안부는 4년 안에 전국의 농산어촌에 드론을 관제하는 기지 10곳을 구축하고 운영프로그램도 개발·보급한다. 우정사업본부는 실제 배송서비스를 수행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드론 운영에 필요한 기술을 지원한다. 한국국토정보공사는 관련 인력 공급을 맡는다.



드론 배송체계가 갖춰지면 농산어촌에 대한 우편배달 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구호물품 전달도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윤종인 행안부 차관은 “배송인프라가 취약한 농산어촌이 소외받지 않도록 드론산업을 발전시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협약식에선 드론 배송 시연행사도 진행됐다. 충남 당진전력문화홍보관을 출발한 드론이 물건을 싣고 난지도와 소난지도를 들렀다가 복귀했다. 선박으로는 2시간이 걸리는 구간이지만, 드론으로는 20분이 소요됐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