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벌초길 ‘벌’ 조심하세요…산란기 8·9월 쏘임 환자 크게 늘어 글의 상세내용
제목 벌초길 ‘벌’ 조심하세요…산란기 8·9월 쏘임 환자 크게 늘어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9-08-22 조회 269
첨부  

출처-농민신문





사람 행동에 민감해 사고 발생


흰색 등 밝은 색상 옷 착용하고 향수·화장품은 사용하지 말아야

 




이른 추석(9월13일)에 따라 벌초시기가 당겨지면서 벌 쏘임 사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벌의 활동이 왕성한 시기인 8~9월에 벌 쏘임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며 최근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올해는 예년에 비해 추석이 빨라 늦여름에 벌초를 가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4~2018년 최근 5년간 벌에 쏘여 병원을 찾은 환자수는 모두 7만72명이다. 월별로 보면 8·9월에 각각 1만9286명(27.5%)·1만9270명(27.5%)으로 가장 많았고 7월 1만3627명(19.4%), 10월 5617명(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조사기간 전체 벌 쏘임 환자의 55%가 8~9월에 집중됐다.



벌 쏘임 사고가 8~9월에 집중되는 이유는 이때가 벌의 산란기이기 때문이다. 벌의 개체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사람의 작은 행동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때라서 사고가 많다는 게 행안부의 설명이다. 10일엔 충남 금산의 야산에서 벌초하던 일가족 3명이 벌에 쏘여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의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먼저 벌 또는 벌집이 있을 만한 곳에선 2~3분가량 주변을 잘 살펴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만약 벌집을 건드렸다면 벌집에서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재빠르게 대피한다. 팔을 휘두르는 등의 큰 몸짓은 벌을 흥분시킬 수 있으니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9월까지는 벌의 활동이 왕성한 만큼 산에 들어갈 때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고령자는 벌에 쏘이면 매우 위험하므로, 반드시 모자와 긴옷을 착용하는 등 사고에 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행안부가 제시하는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벌이 많이 있는 곳으로 갈 땐 흰색 등 밝은 색상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벌은 검은색·갈색 등 어두운 색에 강한 공격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또 강한 냄새를 뿜는 향수·화장품·헤어스프레이 등은 벌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주스·청량음료·과일처럼 단 음식도 벌을 끌어들일 수 있으므로 가져가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벌에 쏘였을 땐 쏘인 부위를 깨끗한 물로 씻는다. 그리고 얼음주머니 등으로 해당 부위를 차갑게 한 뒤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말벌에 쏘이면 피부에 독침이 남지 않지만 꿀벌에 쏘였을 땐 독침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남아 있는 독침은 신용카드 등으로 쏘인 부위를 살살 긁어 밀어내 제거한다.



말벌의 독은 알칼리성이므로 레몬·식초 등 산성물질을 발라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반대로 꿀벌의 독은 산성이라서 침을 제거하고 나서 비누 등 알칼리성 물질로 상처를 씻어주면 독을 중화할 수 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