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농민신문
농식품부·전북혁신도시 ‘맞손’ 12개 공공기관 구내식당 지역농산물 우선 소비 기념품·명절 선물 사용도
농림축산식품부와 전북혁신도시가 로컬푸드 공급을 확대하고자 맞손을 잡았다. 혁신도시와의 협력은 지난해말 광주·전남혁신도시에 이어 두번째다.
농식품부와 전북혁신도시에 들어선 12개 공공기관, 전북도, 전주시, 완주군은 27일 혁신도시 내 국민연금공단 본사에서 ‘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과 상생·균형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역농산물을 소비함으로써 중소농의 소득을 높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것이 협약의 골자다.
협약에 따라 혁신도시 내 12개 공공기관은 구내식당에서 전주와 완주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우선 소비하고 각종 행사 기념품과 명절 선물에도 로컬푸드를 적극 사용하기로 했다. 12곳 중 5곳은 전주공공급식지원센터에서, 나머지 7곳은 완주공공급식지원센터에서 농산물을 공급받는다. 공공급식지원센터는 로컬푸드 공급을 늘리고자 농가를 조직화하고 농가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해 만든다. 농식품부는 로컬푸드 공급에 필요한 생산·가공·유통 시설을 지원하고 전북도와 전주시·완주군은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한다.
이번 협약이 순탄하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안전성과 신선도가 높은 로컬푸드는 가격이 비교적 비싸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에서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지역농산물을 소비한다는 좋은 취지에 공감해 결국 협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농식품부는 협약내용을 차질없이 진행해 전북혁신도시의 사례를 광주·전남혁신도시와 함께 로컬푸드 확산의 선도모델로 삼는다는 구상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11월 광주·전남혁신도시 내 공공기관과 로컬푸드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그 결과 올 8월 기준 로컬푸드의 월평균 공급액은 4455만원으로 협약체결 전(454만원)보다 10배가량 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