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지방소멸 심각…농산촌 유토피아 고민할 때” 글의 상세내용
제목 “지방소멸 심각…농산촌 유토피아 고민할 때”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9-11-21 조회 209
첨부  

출처-농민신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15일 경남 함양군 지곡면사무소에서 개최한 ‘포용사회를 향한 농산촌 유토피아 실천 구상’ 현장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농경연 ‘포용사회 실현’ 토론회


기회의 장 ‘농촌’ 인식 퍼져 일상생활·경제활동 가능한 안정된 일자리·주거 필요

 




문재인정부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국정운영 기조로 내걸고 지역사회의 포용성 강화와 지역균형발전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농촌을 포용사회 실현의 무대로 만드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5일 경남 함양군 지곡면사무소에서 ‘포용사회를 향한 농산촌 유토피아 실천 구상’이란 주제로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



농경연은 포용사회 실현방안으로 2018년부터 농산촌 유토피아 구상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농산촌을 일상생활과 경제활동, 여가·휴양 활동, 공동체 참여가 조화롭게 이뤄지고 도시와 농촌의 문제를 해소하는 지역사회로 만든다는 취지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농산촌 유토피아 조성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송미령 농경연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장은 “우리나라 국민의 삶의 질 수준은 경제성장에 미치지 못하는 데다 농촌은 젊은 연령층 부족, 도시는 인구집중에 따른 문제를 겪고 있다”며 “귀농·귀촌 관심증가 등 농촌을 기회의 장으로 보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삶과 휴양의 조화를 추구하는 장노년층, 일자리와 안정된 사회정착을 꿈꾸는 청년들의 활동무대가 될 수 있는 농촌 유토피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진승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기획단장은 “수도권 인구집중과 지방소멸 문제가 심각하다”며 “농산촌 유토피아 실현을 위한 시범사업에 대한 계획과 재원조달 방안, 관련 기관 역할분담 등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토론회에서는 농산촌 유토피아 구현을 위한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의 사업화 방안이 제시됐다. 이규호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역균형발전처장은 “농산촌 유토피아를 구현하기 위해선 안정된 주거와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일자리가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과 귀농·귀촌 주택단지 리츠사업 등 주거 중심형 사업을 추진하고, 중소기업·상인 중심의 향토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소규모 핵심 인프라를 농촌에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경수 산림청 산림복지정책과장은 “지역의 산림 자원·인프라를 활용해 주민이 주도하는 산림형 기업을 육성하고 지역일자리를 창출하는 산림일자리발전소를 활성화할 예정”이라며 “산촌거점권역 육성사업과 주민주도형 산림관광 활성화에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농산촌 유토피아를 구현하는 데 있어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조재호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국장은 “이제 중앙정부는 하향식 사업 추진방식에서 벗어나 지자체의 계획을 지원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지자체의 역량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김인식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농산촌 유토피아 구현을 위해 지역 곳곳에 주민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전문가를 투입한다면 농촌을 생기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